서규용 농식품부 장관 후보자

서규용 농식품부 장관 후보자

입력 2011-05-07 00:00
업데이트 2011-05-07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농림·수산뿐 아니라 식품 정책에도 중점”

“농림·수산뿐 아니라 식품 분야에도 중점을 둬서 정책을 펼 것이다.”

서규용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후보자는 6일 “지금까지 농업·농촌을 위해 일해왔고 앞으로도 농어민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하지만 그는 농식품부를 떠난 지 9년이 지난 탓인지 말을 아끼는 모습이었다.

‘국민의 정부’ 시절인 지난 2002년 농림부 차관을 지낸 뒤 관직을 떠났다가 9년 만의 ‘금의환향’이다. 지난 2002년 한·중 간 마늘파동이 일어났을 때 본인은 책임질 위치에 있지 않았으나 ‘희생양’을 자처하고 나서 아쉬움 속에 공직을 떠났다. 2000년 차관보 시절에는 구제역 사태 해결을 진두지휘했다.

차관 시절 모친이 돌아가신 뒤 받은 부조금으로 기금을 만들어 형편이 어려운 직원들을 조용히 돕고 있다. 그는 대학(고려대)에서 농업을 전공하고 지난 1973년 농림수산부 농업직(농림기좌)으로 공직에 첫발을 들여 놓은 뒤 농촌진흥청 종자공급소장, 농림부 농산원예국장, 식량정책국장, 농림부 차관보, 농촌진흥청장, 농림부 차관 등을 지내는 등 공직생활 내내 농정과 인연을 맺어왔다.

지난 2001년 김동태 장관 이후 처음으로 농림수산식품부 출신으로 내부에서 장관직에 오른 정통 농정관료다. 유머 감각과 친화력을 갖춘 ‘충청도 신사’다. 일 욕심이 많고 책임감이 강해 부하 직원들로부터 신망이 두텁다.

업무 추진력도 뛰어나다는 평이다. 김영삼 정부 시절 쌀 재고가 부족해 쌀을 수입하라는 청와대의 지시를 따르지 않고 전국을 다니면서 휴경지에 벼를 심도록 해 이듬해 대풍을 거뒀다는 일화도 있다.

공직을 떠난 뒤에도 한국마사회 상임감사, 한국농어민신문사장을 지냈고, 최근엔 시민단체인 ‘로컬푸드운동본부’ 회장으로 국산 농산물 보급 확대를 통한 농촌 소득증대에 힘써 왔다. 서 후보자는 농어촌 실상과 농업이 나아갈 방향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정책을 수립해 나갈 적임자라는 평가다. 따라서 7월에 잠정 발효될 한·EU 자유무역협정(FTA) 등 여러 어려운 상황을 무난히 타개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5-07 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