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지도부 사퇴논란…당권 놓고 ‘주도권 싸움’

한나라 지도부 사퇴논란…당권 놓고 ‘주도권 싸움’

입력 2011-05-08 00:00
업데이트 2011-05-08 15: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두언 등 일부 최고위원 사퇴거부…비대위 구성에 문제제기

4.27 재보선 패배로 가동된 한나라당의 비상대책위 체제가 시작부터 ‘주도권 경쟁’의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가 8일 선거패배의 책임을 지고 물러나면서 지도부의 총사퇴를 기정사실화했으나 일부 최고위원은 이를 거부하고 나섰으며 소장파를 중심으로 안 대표가 제안한 비대위 구성에 대한 의원총회 승인을 요구하는 등 강한 견제를 시작했다.

비대위 체제가 두달도 남지않은 당 대표 선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본 당내 세력들이 움직임을 본격화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안 대표는 이날 여의도당사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재보선에서 보여준 국민 여러분의 무거운 질책에 대해 우리 최고위원 모두 책임을 진다고 이미 국민에게 말씀 드렸고 그 결과에 따라 총사퇴하는 최고위원들을 대표해 내가 기자회견을 하게됐다”고 말했다.

4.27 재보선 패배 직후 밝힌 자신과 최고위원들의 사퇴선언을 이날 행동에 옮긴 것이다.

그러나 일부 최고위원이 “당헌.당규에 따르면 대표가 그만둔다고 최고위원까지 그만둬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사퇴 거부 입장을 밝히고 나섰다. 반면 다른 최고위원은 “최고위원 사퇴는 이미 끝난 이야기”라며 안 대표와 함께 총사퇴하겠다는 생각을 굽히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두언 최고위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표가 사퇴한 만큼 황우여 신임원내대표가 대표 권한대행의 자격으로 6월말∼7월초로 예정된 전당대회까지 당을 운영해야 한다”며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대 관리에만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황 원내대표는 원희룡 사무총장에 당헌.당규의 최고위원 사퇴규정 등과 관련한 해석을 요청, 현재 작업이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황 원내대표는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당 사무처에서 당헌.당규를 해석하고 있으며 그 해석에 따르겠다”고 말했다.

재보선 후 안 대표를 비롯한 최고위원들의 총사퇴 선언과 비대위 가동 등에도 불구하고 갑자기 ‘최고위원 사퇴불가-원내대표의 대표 권한대행’ 주장이 제기된 것은 원내대표 선거를 거치며 주류-비주류가 역전되는 등 한나라당 권력지형의 변화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원내대표 선거를 거치며 수도권 초.재선 소장파-친박(친박근혜)계의 연대가 형성, 사실상 이들 세력이 주류로 떠오르면서 목소리가 커진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한 여권 인사는 전했다.

이들이 비상대책위원들의 면면을 탐탁지 않게 생각하면서 문제제기에 나섰다는 것이다.

이 인사는 “소장파 일각에서 비대위 구성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문제제기에 나선 것”이라며 “당권 경쟁을 앞두고 각 세력들이 자신들에 유리한 구도를 만들기 위해 움직이기 시작했다”고 풀이했다.

일부 소장파 인사들은 이날 비대위에 최고위원회의의 권한을 주기 위해서는 비대위의 역할이나 구성에 대해 의원총회 승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날 오후 회동을 갖고 의견을 모았다.

황 원내대표도 “비대위 구성은 의총을 열어 승인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