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물품 사기 2년만에 50.3% 증가

인터넷 물품 사기 2년만에 50.3% 증가

입력 2011-07-06 00:00
업데이트 2011-07-06 07: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터넷을 통해 물건을 판다면서 물품 대금만 받아 가로채는 인터넷 사기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나라당 윤석용 의원이 6일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인터넷 사기 단속현황’에 따르면 전자거래사기나 직거래사기 등 통신사기 범죄 검거인수는 2008년 1만7천844명, 2009년 2만2천758명, 2010년 2만6천826명으로 2년만에 50.3% 증가했다.

올해 들어서는 5월까지 1만370명이 통신사기 혐의로 검거됐다.

반면 온라인 게임 아이템 현금거래와 관련된 게임사기는 같은 기간 1만1천49건에서 9천586건으로 13.2% 감소했다.

한 때 사회문제가 됐던 메신저 피싱은 발생건수가 2009년 5천155건, 2010년 1천557건으로 1년만에 3분의 1 이하로 줄었다.

경찰 관계자는 “게임사기와 메신저 피싱은 대형 포털을 중심으로 한 피해예방 활동 등을 통해 발생건수를 크게 줄였지만, 통신사기는 단속 강화에도 오히려 발생건수가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의원은 “서민경제 악화에 따른 민생범죄 증가가 통신사기의 증가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통신사기 예방 대책과 함께 실질적인 서민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