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金씨 일가의 대 이은 ‘음악단’ 사랑

북한 金씨 일가의 대 이은 ‘음악단’ 사랑

입력 2012-03-11 00:00
업데이트 2012-03-11 10: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정은 전용 음악단 코드는 ‘은하수’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9일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세계여성의 날을 맞아 은하수음악회 ‘여성은 꽃이라네’를 관람했다고 전했다.

’은하수음악회’는 은하수관현악단의 음악회를 줄인 말로, 최근 북한에서 주목받는 은하수관현악단은 김 부위원장의 전용 음악단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부위원장이 후계자로 내정된 이후 만들어진 이 악단은 2009년 9월8일 북한 매체에 처음 등장했다.

당시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평양 만수대예술극장에서 방북한 러시아의 ‘21세기 관현악단’과 유를로브 국립아카데미 무반주합창단, 북한 은하수관현악단, 조선인민군 공훈국가합창단의 합동공연을 관람했다고 보도했다.

중앙통신은 이날 공연관람에 김영춘 인민무력부장, 김기남, 최태복 노동당 비서, 양형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부위원장 등이 참석했다고 밝혔으나 김 부위원장도 참석했을 개연성이 크다.

이후 은하수관현악단은 양력설, 음력설과 노동당 창건 기념일, 김일성·김정일 생일 등 북한의 주요 명절에 맞춰 매번 음악회를 열었고 김정일 부자는 이 악단의 공연을 빠짐없이 관람했다.

북한 당국은 지난해 김 부위원장의 총애를 받는 이 악단을 위해 전용극장도 마련해줬다.

작년 7월16일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일 위원장이 당시 후계자 김정은과 함께 새로 리모델링된 은하수극장에서 은하수관현악단의 개관 기념음악회를 관람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공연관람을 마친 뒤 “은하수관현악단의 창작태도와 창조 기풍은 우리의 모든 예술단체가 따라 배워야 할 본보기”라며 ‘후계자의 악단’을 치켜세웠다.

젊은 새 지도자의 전용악단이다보니 은하수관현악단에는 젊은 연주자가 많고 연주 실력도 북한 내에서 정상급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명훈 서울시향 예술감독은 최근 언론과 인터뷰에서 “작년 평양에서 북한 국립교향악단과 은하수관현악단을 봤는데 이 중 젊은 연주자가 많은 은하수관현악단이 더 마음에 들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다”고 평한 바 있다.

은하수관현악단과 프랑스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오는 14일 프랑스 파리 살 플레옐에서 정 감독의 지휘에 맞춰 합동공연을 한다.

김 부위원장의 ‘음악단’ 사랑은 아버지와 할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것으로 보인다.

김정일 위원장은 후계자 시절에는 보천보전자악단(1985년 창단)과 왕재산경음악단(1983년 창단)을 총애했으며, 선군정치에 나선 이후에는 조선인민군 공훈합창단을 ‘자신의 나팔수’라 부르며 애정을 쏟았다.

김일성 주석은 김 부위원장의 생모 고영숙이 무용수로 활동한 적이 있는 만수대예술단을 좋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수대예술단의 전신은 1946년 설립된 ‘평양가무단’이며 1969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