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광명성 3호 발사 북미합의에 저촉 안돼”

北 “광명성 3호 발사 북미합의에 저촉 안돼”

입력 2012-03-20 00:00
업데이트 2012-03-20 07: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이 ‘광명성 3호 위성’ 발사계획을 발표한 데 대해 국제사회의 비난이 거세지자 ‘광명성 3호’ 발사와 북미합의는 모순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조선중앙통신은 19일 밤 내놓은 ‘위성발사, 조미 합의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제목의 논평에서 “단언컨대 우리의 위성발사는 조미(북미) 합의와 전혀 관련이 없다”며 “우리의 위성발사계획은 나라의 첨단과학기술을 더 높은 경지에 올려세워 사회주의강국 건설의 기둥을 굳건히 하고 민족과 인류 공동의 번영에 이바지하려는 일념에서 출발한 것으로 문제시될 것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논평은 “우리는 이미 결실 있는 (북미) 회담이 진행되는 기간 핵시험과 장거리미사일 발사, 영변 우라늄농축활동을 임시 중지하고 국제원자력기구의 감시를 허용하기로 했다”며 “실용위성 발사와 장거리 미사일은 별개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어 “우주공간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모든 나라의 합법적 권리에 기초해 발사계획을 공개하고 국제적 규정과 절차에 따라 국제기구들에 필요한 자료들을 통보했다”고 밝혔다.

논평은 우리 정부의 비난에 대해 “광명성 3호 발사와 관련해 남조선 괴뢰들이 괴이한 여론 깜빠니야(캠페인)를 벌인다”며 “우리의 위성이 대륙 간 탄도미사일이며 2·29 북미고위급회담 합의문에 대한 위반이라고 떠드는 여론전의 배경은 임종에 다다른 이명박 정권의 정치적 입지로 설명할 수 있다”고 일축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