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취임 100일] 취임 한달 때 41% 최저… 최근 50%대서 안정

[박근혜 대통령 취임 100일] 취임 한달 때 41% 최저… 최근 50%대서 안정

입력 2013-06-03 00:00
업데이트 2013-06-03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정수행 지지율 추이 보니

국정수행 지지율만 놓고 보면 박근혜 대통령의 100일은 역대 어느 정권보다 부침이 심했다.

처음부터 야당, 언론과의 ‘허니문’은 없었다. 인수위원회 시절부터 조용하고 신중한 행보로 국민에게 비전과 기대감을 심어주는 작업을 하지 않았다.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 낙마를 시작으로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등 박 대통령이 공들여 영입한 인사들의 심각한 흠결이 드러나면서 줄줄이 사퇴하는 등 인사검증 실패가 지지율 하락을 주도했다.

1987년 직선제 도입 이후 처음으로 50%대 지지를 얻어 당선됐지만, 취임 한 달 만인 3월 마지막 주 지지율은 41%(이하 한국갤럽 조사)까지 곤두박질쳤다. 역대 대통령의 집권 한 달 지지도 중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김영삼 대통령(1993년)과 김대중 대통령(1998년) 지지도는 71%에 이르렀다. 노무현 대통령(2003년)은 60%였고, 심지어 이명박 대통령(2008년)도 52%였다.

박 대통령의 지지율 반등은 북한 도발 수위와 궤를 같이했다. 남북 경제협력의 상징인 개성공단 폐쇄와 미사일 위협 등은 박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을 막았다. 한반도 위기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국민정서가 작용했다. 안보위기 상황에서 박 대통령의 단호한 대응은 보수 지지층을 결집했다. 덕분에 4월 마지막 주 지지율은 48%까지 회복했다.

2차 반등은 미국 순방을 통해 이뤄졌다. 한·미 정상회담, 상·하원 합동 연설 등으로 국정수행 지지율은 56%까지 치솟았다.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인턴 성추행 사건이 불거지면서 잠시 주춤했지만, 5월 말 현재 53%로 비교적 안정적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윤희웅 조사분석실장은 “두 차례에 걸친 지지율 상승은 박 대통령의 국정 성과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다. 안보위기 등 주어진 환경에서 ‘선방’ 혹은 열심히 했다는 평가가 반영된 것”이라면서 “안보위기가 일단락되면 비로소 냉정한 평가단계에 접어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3-06-03 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