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출마, 늘공은 저울질하다가 허송, 어공은 행정은 뒷전

총선 출마, 늘공은 저울질하다가 허송, 어공은 행정은 뒷전

김성곤 기자
입력 2019-05-07 14:30
업데이트 2019-05-07 14: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진보정권에 입지 좁아진 영남권 출마 고민 늘어
이미지 확대
광역 자치단체 부단체장의 총선 출마는 긍정과 부정이 교차한다. 굳이 따진다면 긍정 쪽에 가깝다. 행정경험이 풍부한 엘리트들이 정치권에 충원돼 전문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참신성 측면에서 정치권에 자극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정무직 부단체장의 경우도 그동안 정치 경험은 많아도 실무경험이 부족했던 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하지만, 일부 부단체장은 부지사나 부시장 자리가 총선이나 기초단체장 출마를 위한 징검다리로 여기고 행정에 소홀한 때도 없지 않다. 드러내 놓고 출마를 공언하는 부단체장도 있다. 행정관료 출신도 은연중에 자신이 염두에 둔 지역구에 공을 들이는 등 행정에 균형을 잃기도 한다.

어떤 광역 단체장은 자신의 측근을 부단체장으로 임명해 드러내놓고 이들의 경력을 관리해 준다. 지역 정치권이나 소속 정당에서 자신의 우군을 늘리기 위한 것이다. 탈법이나 불법은 아니지만, 바람직한 모습은 아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어떤 부단체장들이 모두 총선 출마 후보로 거론되기도 한다. 서울과 경기도는 3명의 부단체장 가운데 2명이 출마가 점쳐지고 있다. 광주나 강원 등도 부단체장이 모두 출마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부단체장 경력이 선거에 보탬이 되는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공천이나 당선의 보증 수표는 아니다. 나아가 단체장이 뒤를 봐준다고 해서 긍정적인 것만도 아니다. 단체장이 지지율이 떨어지거나 실정을 하게 되면 그 부담도 고스란히 나눠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행정 관료 출신 부단체장과 정치권이나 시민단체 출신의 정무 부단체장의 행보는 뚜렷이 다르다는 게 지역정가의 분석이다.

행정 관료들은 정치에 뜻이 있으면서도 이를 공식화하는 데 너무 뜸을 들인다. 출마설이 돌아 정치권에서 영입해주기를 바라지만, 정치는 그렇게 녹록지 않다. 저울질하다가 ‘훅’ 지나가는 경우도 있다.

이를 두고 공무원 특유의 ‘저울질’ 문화 때문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평소에 마음에 둔 지역구에 드나들면서 권리당원을 확보하는 등 물밑 작업을 해야 하는 데 그게 부족하다는 것이다. 윤준병 서울시 행정1부시장처럼 일찌감치 자리를 털고 나서는 경우는 드물다.

반면 정무직 부단체장은 대부분 출마를 염두에 두고 자리를 옮긴 경우가 많아서 지역구 관리도 틈틈이 하는 등 준비가 철저하다. 타이밍을 봐서 뛰쳐나갈 시기도 잘 잡는다. 실력이 있으면서도 결단을 못 해 기회를 잃은 ‘늘공’ 출신과 대조적이다.

진보정권인 문재인 정부 들어서면서 영남권 부단체장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는 게 새로운 현상 가운데 하나다. 그동안 영남 정권일 때에 비해 차관보 등 1급이나 장·차관 가능성이 작다고 본다는 것이다. 실제 수치상으로 명확히 드러나는 것은 아니지만, 영남권 전·현직 부단체장이나 고위 공직자 가운데에는 총선 출마를 저울질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김성곤 선임기자 sunggone@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