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과세 축소·지하경제 양성화로 재원 확보

비과세 축소·지하경제 양성화로 재원 확보

입력 2013-01-29 00:00
업데이트 2013-01-29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朴 “세출 구조조정으로 달성” 국세청에 정보접근권 넘어갈 듯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28일 ‘직접 증세’ 없이 대선 공약의 재원을 마련하겠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박 당선인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고용복지분과 국정과제 토론회에서 비과세·감면 조정과 지하경제 양성화 등으로 공약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박 당선인은 지하경제 양성화 문제와 관련 “조세정의 차원에서도 반드시 해야 되는 일이라면 부처 간 정보를 공유하면서 노력하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게 그 안에서 가능하겠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지하 경제만 해도 국내총생산(GDP)의 24%라고 하지 않느냐”면서 “의지만 갖고 정부에서 노력한다면 이런 재정은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대선 공약인 복지확충을 직접 증세 없이 세출 구조조정이나 간접증세 등으로 달성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금융정보분석원(FIU)의 금융거래정보는 금융위원회의 반대에도 국세청에 정보접근권이 고스란히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박 당선인은 300조원 이상으로 추정되는 ‘지하경제’를 양성화해 세원을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류성걸 경제1분과 간사는 “(지하경제를) FIU를 통해 양성화하도록 국세청·관세청이 세부 계획을 내부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고, 박 당선인은 “이번 기회에 좀 확실하게 잘 살펴달라”고 당부했다. 반면 납세자연맹은 지하경제 양성화를 위해 새 정부가 추진 중인 국세청의 FIU 정보 접근 확대안에 대해 반대 입장을 내놨다.

연맹 측은 이날 보도자료에서 “국세청의 FIU 정보 접근을 확대하면 금융거래를 위축시켜 오히려 지하경제 활성화를 부추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하경제 주체들은 애초부터 현금거래가 많은 데다 FIU 정보 접근을 확대하면 금융거래가 포착되는 것을 꺼려 오히려 더 숨을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여겨서다. 또 소득·의료비·보험료·신용카드 등 납세자의 온갖 정보를 갖고 있는 국세청이 금융정보까지 보유하면 정치적 목적의 세무조사와 사생활 침해 등의 더 큰 문제를 낳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3-01-29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