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해·공사 자퇴생 급증…대책마련 고심

육·해·공사 자퇴생 급증…대책마련 고심

입력 2014-02-26 00:00
업데이트 2014-02-26 15: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67명 자퇴…2012년 대비 4.2배로 급증

지난해 육·해·공군사관학교 자퇴생이 급증해 각 군(軍)이 대책 마련에 고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육·해·공군에 따르면 3군 사관학교의 지난해 자퇴생은 67명으로 전년 대비 4.2배로 늘었다.

3군 사관학교의 자퇴생은 2009년 19명, 2010년 21명, 2011년 13명, 2012년 16명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추세를 보이다가 지난해 급증했다.

육사에선 진로 문제(25명), 적성 부적합(16명) 등의 사유로 지난해 45명이 무더기로 자퇴했다. 2012년 10명이 자퇴한 것에 비해 4.5배로 급증했다.

육군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생도 간 성폭행 사건 등이 발생해 육사에서 자체적으로 군 기강을 강화했다”며 “그런 것이 자퇴자 증가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해사에선 12명이 자퇴해 2012년(4명) 대비 3배로 늘었고, 공사에선 10명이 자퇴해 전년(2명) 대비 5배 급증했다.

3군 사관학교 자퇴생은 대부분 1, 2학년으로, 졸업 후 장기 군 복무에 회의를 느껴 자신의 진로를 변경한 것으로 풀이된다.

육·해·공군은 사관학교 자퇴자가 늘어나자 대책 마련에 애를 쓰고 있다.

육사는 성적 위주로 생도를 선발하는 현행 입시제도가 한계가 있다고 판단, 군인다운 품성과 자질을 겸비한 인재를 우선 선발하는 제도를 도입키로 했다.

육사는 2015년도 신입생 모집 때부터 1차(학과)와 2차(면접 체력 검정) 시험을 통과한 지원자 중 적성우수자를 정원의 최대 20%까지 수능시험 이전에 우선 선발하기로 했다.

또 적성우수자를 선발하기 위해 최종선발 때도 면접시험의 반영비중을 10%에서 20%로 상향 조정했다.

해·공군사관학교도 자퇴생 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면접시험 때 군 적응성 평가를 강화하는 등의 대책을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