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쇼핑 피해 4년간 2.6배로 증가

온라인쇼핑 피해 4년간 2.6배로 증가

입력 2011-05-08 00:00
업데이트 2011-05-08 1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비자 최다 피해 품목은 의류

지난 4년간 전자상거래 소비자 피해 건수가 2.6배로 늘었고 평균 피해 금액은 절반으로 줄었다.

서울시는 2006~2010년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ecc.seoul.go.kr)에 접수된 전자상거래 관련 소비자 피해 상담 건수는 2006년 7천236건에서 2007년 1만4천241건, 2008년 1만3천255건, 2009년 1만4천249건, 2010년 1만8천914건으로 증가했다고 8일 밝혔다.

반면 평균 피해금액은 2006년 28만3천원에서 2010년 15만4천원으로 45% 감소해 피해가 ‘소액 다수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피해상담 건수는 6만7천895건이고 금액으로는 137억6천874만원이다.

품목별로는 의류가 2만94건(29.6%)으로 가장 많고 신발ㆍ가방 등 잡화 1만9천915건(29.3%), 콘텐츠 4천428건(6.5%), 가전·영상제품, 휴대전화, 카메라 4천244건(6.3%), 컴퓨터와 주변기기, 소프트웨어 2천395건(3.5%), 가구·생활용품·유아동 2천175건(3.2%) 순이다.

연령별로 10대와 20대는 신발과 가방 등 잡화에 대한 불만이 42.6%와 33.9%로 가장 많았고 30대는 의류(25.2%), 50대와 60대 이상은 가전제품과 콘텐츠 관련이 많았다.

피해 금액별로 5만원 미만이 36.6%, 5만원∼10만원 미만이 25.7%로 10만원 미만이 절반이 넘었다.

피해 유형으로는 반품ㆍ환급 거절이 2만2천522건(33.2%)으로 가장 많으며 사이트 폐쇄 등으로 연락이 안 돼 발생한 피해 1만2천921건(19.0%), 배송지연 9천307건(13.7%), 제품 불량ㆍ하자 4천872건(7.2%), 서비스 불만 2천330건(3.4%)으로 집계됐다.

구매장소는 일반 쇼핑몰이 4만5천990건(67.7%)으로 가장 많았고 오픈마켓이 7천462건(11.0%), 개인간 거래는 3천401건(5.0%)이다.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는 “소비자 피해가 잦은 업체 명단을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으며 사기 의심 사이트에는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와 함께 신속히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