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언·폭행·협박에 ‘멍드는 교사들’

폭언·폭행·협박에 ‘멍드는 교사들’

입력 2011-05-14 00:00
업데이트 2011-05-14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방의 A 중학교 김모(43·여) 교사는 지난해 휴직계를 낸 뒤 다시 교단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중3 수업 시간에 맨 뒷자리에서 소설을 읽는 학생을 나무라다가 학생에게 머리채를 잡혀 교실 밖으로 끌려 나갔다. 그날 그는 다른 교사들이 몰려와 말릴 때까지 학생에게 입에 담을 수 없는 욕설을 들으며 폭행을 당해야 했다. 결국 그 학생은 전학을 갔지만 이 과정에서 학부모로부터 “교사가 지도를 잘못해 아이가 학교를 떠나게 됐으니 당신도 교사 못 할 것”이라는 협박까지 들었다. 김 교사는 아직까지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지만 수많은 학생이 보는 앞에서 당한 그날의 상처를 씻어내지 못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제자 사랑 세족식
제자 사랑 세족식 스승의 날을 이틀 앞둔 13일 오전 서울 방화동 성지중·고에서 열린 ‘제자 사랑 세족식’에서 개량 한복과 정자관을 착용한 교사들이 제자들의 발을 씻겨 주고 있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이처럼 폭행·폭언에 시달리는 교사가 갈수록 늘고 있다. 최근 10년 동안 학생과 학부모의 교권 침해 사례는 8배나 는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2010년 교권 회복 및 교직 상담 활동 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발생한 교권 침해 사례는 모두 260건이었으며, 이 중 학생·학부모의 폭언·폭행·협박이 98건으로 전체의 37.7%를 차지했다. 특히 학생·학부모의 부당 행위는 2000년 초반에만 해도 연간 10건에 불과했지만, 해마다 수가 늘어 2007년에는 79건으로 급증했고 지난해는 무려 100건에 육박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학교 안전 사고 같은 교내 사고는 줄어드는 추세지만 학생과 학부모의 폭언·폭행으로 시작된 고발이나 손해배상 소송 같은 외부 갈등은 크게 늘어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김동석 교총 대변인은 “학교와 교사의 권위가 떨어지면서 교권침해도 덩달아 늘고 있다.”면서 “교원의 피해를 막을 수 있는 법적인 제도 보완과 함께 교사의 자긍심을 살릴 수 있는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1-05-14 1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