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사고 6건…“4대강사업 때문” vs “아니다”

낙동강 사고 6건…“4대강사업 때문” vs “아니다”

입력 2011-07-06 00:00
업데이트 2011-07-06 15: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경단체-정부, 사고 원인 두고 공방전

4대강 사업 이후 낙동강 유역에서 연이어 발생한 사고의 원인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는 많은 비가 내린 탓일뿐 4대강 사업과 무관하다고 주장하지만 환경단체는 4대강 사업 때문이라며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올해 들어 경북도내 낙동강 유역에서 발생한 사고는 6건에 이른다.

지난 5월8일 구미시 해평면 구미광역취수장 앞 임시 물막이가 붕괴됐고, 4일 뒤 구미시 비산동 비산취수장 인근에 설치된 임시 물막이가 무너졌는가하면 비슷한 시기에 상주시 병성동 상주보 아래 임시 물막이와 공사용 임시 교량이 붕괴됐다.

이런 사고가 잊히기도 전인 6월25일에는 완공 100년이 넘은 경북 칠곡군 ‘호국의 다리’(옛 왜관철교)의 교각이 무너졌고, 같은 날 상주시 중동면 상주보 건설현장에서 둑 150m가 붕괴됐다. 며칠 후 구미 낙동강 횡단 상수도 관로가 파손돼 단수 사태가 벌어졌다.

낙동강 일대 물막이나 임시 교량 붕괴는 4대강 정비사업으로 강바닥이 준설되면서 유속이 빨라진 데다 사용기간이 한시적이라는 점 때문에 시공이 부실해 발생했다는 것이 전문가의 시각이다.

다리 붕괴나 상수도 관로 파손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많은 토목 전문가나 환경단체는 사고 지점 상류의 준설로 유량이 많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국토해양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4대강 사업과 무관하게 100년에 한 번 정도 발생하는 집중호우 때문에 빚어진 천재지변이라고 해명하기에 바쁘다.

경북도와 구미시 등 지방자치단체도 피해에는 민감하게 반응하면서도 사고 원인은 4대강 사업과 관련이 없다고 강조한다.

한국수자원공사 김건호 사장은 지난 5일 “지난달 22-26일 내린 장맛비 때문에 유량 증가와 수로 변경으로 관로 일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모래를 준설하지 않은 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에 4대강 사업과는 직접 연관이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환경단체와 시민단체는 4대강 사업 이후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한 점을 들어 우연의 일치라고 보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봄에 내린 100㎜ 안팎의 비나 최근 장마기간에 내린 300㎜안팎의 비는 비교적 많은 양이긴 하지만 다리가 무너지거나 콘크리트로 감싼 상수도관이 파손된 이유로 설명하기엔 부족하다는 것이다.

하천 바닥을 준설함으로써 유량이 많아지고 수압이 높아져 결과적으로 사고가 발생했다는 주장이다.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생태보전국장은 “최근 계속 발생하는 낙동강 유역의 사고는 과다한 준설이 불러일으킨 것”이라며 “4대강 사업과 무관하다는 해명은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