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만명 다문화 학생 지원 공교육 프로젝트 본격화

4만명 다문화 학생 지원 공교육 프로젝트 본격화

입력 2012-03-13 00:00
업데이트 2012-03-13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예비학교 3곳→26곳… 초중고 한국어과정 ‘정규과목’

다문화 학생이 초·중·고 정규학교에 다니기 전에 적응교육을 받을 수 있는 예비학교가 전국적으로 크게 확대, 운영된다. 또 다문화 학생이 다니는 학교에는 ‘한국어 교육과정’(KSL)이 정규 과목으로 개설된다. 방과후 학교 등에는 다문화 학생과 일반 학생이 함께 배우는 이중언어 교육프로그램도 강화된다.

●학력미달땐 보조교사·이중언어강사 배치

교육과학기술부는 급증하는 다문화 학생을 공교육 차원에서 끌어안기 위해 ‘다문화 학생 교육선진화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12일 밝혔다. 오는 2014년 전체 학생의 1%를 넘어설 다문화 학생들을 사회 주요 구성원으로 보듬기 위한 본격적인 공교육 프로젝트다. 다문화 학생은 지난해 기준 초·중·고 재학생의 0.55%인 3만 8678명에 달했다. 전체 학교의 71.8%인 7989개교에 다문화 학생이 1명 이상 재학 중인 것이다. 그러나 현행 공교육 체제는 다문화 학생의 다양성을 포용하기에 미흡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학교 부적응에 따른 학업 중단 문제가 잇따랐다.

교과부는 다문화 학생들이 정규학교에 배치되기 전에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적응할 수 있는 예비학교를 현재 서울·부산·광주의 3개교에서 올해 전국 26개교로 늘리기로 했다. 다문화 학생은 희망에 따라 6개월가량 예비학교를 다닐 수 있다. 또 다문화 학생의 출입국관리소 외국인 등록부터 국적취득, 입학안내, 사후 관리까지 모든 과정을 돕는 다문화 학생 전담 코디네이터도 집중 양성하기로 했다. 한국어 교육을 위해 단계별 ‘한국어 교육과정’(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을 정규과목으로 운영하는 데다 학교에서 한국어 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학생용 한국어능력시험(J-TOPIK)도 개발, 보급할 방침이다. 기초학력이 떨어지는 다문화 학생에게는 대학생 보조교사와 이중언어 강사를 배치, 맞춤형 멘토링 학습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대입 특별전형 확대

교과부는 특히 다문화 학생의 고등교육 기회를 넓히기 위해 대학들에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적 배려대상자 전형 지원자격에 다문화 학생을 포함시키도록 권장할 계획이다. 교육대학에 대해서도 다문화 학생 특별전형을 늘려 다양한 문화와 언어적 배경을 가진 예비 교원을 양성하도록 했다.

박건형·윤샘이나기자

kitsch@seoul.co.kr

2012-03-13 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