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 “가압류·손해배상 등 노조탄압 중단하라”

철도노조 “가압류·손해배상 등 노조탄압 중단하라”

입력 2014-02-07 00:00
업데이트 2014-02-07 14: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철도노조는 7일 오후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회견과 간부 결의대회를 열고 “정부와 철도공사는 노조의 정당한 교섭 요구에 응하고 노조 탄압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미지 확대
’가압류·대량징계 중단하라’
’가압류·대량징계 중단하라’ 이영익 철도노조 위원장(가운데)이 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KB국민은행 앞에서 열린 철도노조 탄압 규탄 및 국회 소위 정상 운영 촉구 기자회견에서 화견문을 읽고 있다.
연합뉴스


철도노조는 “노조원 8천797명 직위해제, 191명 고소·고발, 490명 징계 회부, 152억 손해배상 청구, 116억 가압류 집행, 10억 위자료 청구소송 등으로 철도공사가 노조 무력화에 몰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노조 무력화는 국민이 반대하는 철도 민영화를 일방적으로 추진하려는 수단이며 법원이 최근 가압류 신청을 받아들인 것은 노동3권을 제약하는 횡포”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잘못된 KTX 민영화 정책을 중단시키려는 노조의 파업은 정당하다”며 “법원에 가압류 결정 취소를 요구하는 법적 조치에 나서는 한편 노동자의 정당한 권리를 지키고자 각계와 뜻을 모아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철도노조는 또 철도산업 발전방안과 민영화 방지대책 마련을 목표로 작년 12월 구성된 국회 철도산업발전소위원회가 새누리당의 의지 부족으로 논의가 지지부진하다며 “새누리당이 철도발전 소위를 진정성 있게 운영할 의지가 있는지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철도노조는 “3개월로 정해진 소위 1차 활동기간을 연장하고 운영 정상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