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교복 브랜드 가격담합했나…동일 가격지역 수두룩

4대 교복 브랜드 가격담합했나…동일 가격지역 수두룩

입력 2014-02-20 00:00
업데이트 2014-02-20 09: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충남 3개 지역서 4대업체 가격이 일제히 22만8천원 같은 브랜드 가격 지역편차 최대 10만원

전국의 상당수 지역에서 4대 교복 브랜드 업체의 가격이 똑같아 담합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또 동일 브랜드 업체의 교복 가격이 지역에 따라 최대 10만원 가량 차이가 날 정도로 지역별 편차가 커 교복 가격의 적정 수준에 대한 의구심도 일고 있다.

20일 교육부가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시·도의 4대 브랜드 업체 교복가격을 긴급조사한 결과를 보면 동복 기준 개별 구매의 평균가격은 25만7천55원으로, 교육부가 제시한 교복 상한 기준인 20만3천84원보다 5만원 이상 높았다.

이번 조사는 시·도교육청이 관할 지역 내 3개 시·군·구를 골라 4대 브랜드 업체 대리점에 직접 가격을 문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부산과 제주는 2개 지역만 조사했다.

교육부는 4대 업체가 일선 학교의 공동 구매에 참여하지 않고 학부모들의 개별 구매를 유도해 개별 구입 가격이 높게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서울 송파구, 대구 북구, 대전 중구, 충남 천안·아산·당진시, 전남 순천·여수시 등 8개 지역은 지역 내에서 4대 업체의 교복 가격이 똑같았다.

또 대구 수성구, 광주 서구, 대전 서·동구, 전남 목포시, 경남 창원시 등 6개 지역은 4개 업체 중 3개 업체의 가격이 동일했다.

충북 진천·옥천군, 전북 부안군, 경남 거창군 등 4개 지역은 지역 내에서 영업 중인 2개 업체 대리점의 가격이 서로 같았다.

이 중 충남의 천안·아산·당진 등 3개 시는 4대 업체 교복 가격이 한결같이 22만8천원이었다.

대전은 서구의 한 업체만 가격이 23만8천원인 것을 빼고는 중·서·동구의 4대 업체 가격이 일제히 24만8천원이었다.

결국 조사 대상 46개 지역 중 이 18개 지역에서 업체 대리점간 가격 담합이 있었을 것으로 의심해볼 수밖에 없는 셈이다.

같은 브랜드 업체라도 지역별로 가격 편차가 크기도 했다.

A업체 교복이 충남에서 평균 22만8천원에 팔렸지만 전남에서 평균 27만9천333원에 판매돼 가격 차가 5만원 가량 났다.

B업체 교복의 경우 서울 금천구에서의 가격이 19만3천원이었지만 같은 시의 강동구에서는 29만9천원에 판매됐다.

학교마다 교복 디자인이나 사용된 원단이 달라 같은 업체의 제품이라도 가격이 다양할 수 있지만 지역별로 가격 차가 최대 10만원 이상 나는 것은 제조원가 차이로만 설명하기가 어려운 수준이다.

조진형 자율교육학부모 연대 상임대표는 “4대 업체 가격이 완전히 똑같은 것은 상식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담합으로 볼 수 있어 관련 증거자료를 수집해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학교가 경쟁입찰을 진행해 교복 공급업자를 선정하면 교복 가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내년부터 국·공립학교에 이 같은 학교주관구매를 강제하기로 했다.

또 학생, 학부모가 브랜드 업체 제품을 선호하는 이유가 이들 교복의 안감에 해당 브랜드임을 식별할 수 있는 디자인이 들어가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 같은 학교의 교복이면 안감 역시 디자인을 통일하도록 지침을 내리기로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복 가격에 이상 조짐이 있어 전국에 교복 가격 실태 조사를 벌여보니 4대 업체 가격이 똑같은 지역이 적지 않았다”며 “공정위에 협의해 주요 브랜드 업체가 가격 담합을 할 소지를 줄일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