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대신 꽃송이로...” ’소원’ 작가 아고라에 청원

“위안부 대신 꽃송이로...” ’소원’ 작가 아고라에 청원

입력 2014-02-28 00:00
업데이트 2014-02-28 1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동 성폭력 사건을 당한 가족의 치유와 회복을 그린 영화 ‘소원’의 원작자인 소재원(31)씨가 시대적 고통을 품은 ‘위안부’라는 말 대신 ‘꽃송이’라고 하자고 제안해 인터넷을 달구고 있다.

이미지 확대
 “위안부 대신 꽃송이로”’소원’ 작가 아고라에 청원
“위안부 대신 꽃송이로”’소원’ 작가 아고라에 청원 아동 성폭력 사건을 당한 가족의 치유와 회복을 그린 영화 ‘소원’의 원작자인 소재원 씨가 시대적 고통을 품은 ‘위안부’라는 말 대신 ‘꽃송이’라고 하자고 제안해 주목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28일 포털사이트 다음 토론방 ‘아고라’의 ‘이슈청원’ 페이지에서는 ‘위안부·정신대 할머니가 아닌 꽃송이 할머니로 불러주세요’라는 제목의 청원이 진행 중이다. 이 청원에는 제95주년 3·1절을 맞아 일제강점기에 일본군에게 유린당한 피해자를 지칭하는 위안부와 정신대라는 용어를 다른 단어로 바꿔 쓰자는 내용이 담겼다.

소씨가 “역사적인 아픔을 증명하기 위해 국제사회에서는 위안부나 정신대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우리 집 안방에서까지 그렇게 불러야 할 이유가 있을까”라고 제안하면서 지난 27일부터 청원이 시작됐다.

영화 ‘비스티보이즈’와 ‘소원’의 원작자로 유명한 그는 10년 넘게 한센병 환우들을 위한 봉사를 하는 등 아동과 장애인·여성 문제에 관심을 두고 활동해왔다.

소씨는 2년 전 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해 시각장애 5급 판정을 받았다고 털어놓으면서 주목을 받았다. 그런 그가 위안부·정신대라는 말 대신 제안한 용어는 ‘꽃송이’다. 소씨는 “단어 200∼300개를 놓고 고민을 하다가 할머니들이 어린 시절 미처 꿈도 채 펴보기 전에 피해를 봤기 때문에 아직 피어나지 않은 꽃봉오리라는 의미로 꽃이 적당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꽃송이가 북한에선 존경받는 사람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꽃송이라는 단어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라는 의미가 없다는 일부 누리꾼의 지적에 대해 소씨는 “공식 명칭을 아예 바꾸자는 게 아니다”며 “언어가 통하고 뜻을 소통할 수 있는 우리끼리라도 은유적인 표현으로 지칭하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당연하다는 듯이 우리 입으로 그분들을 성 노예라고 표현하는 것은 너무 잔인하다”며 “서명을 통해 이 문제를 공론화하는 게 일차적인 목표”라고 말했다.

소씨는 다음 달 1일 정오부터 서울 강남역 10번 출구 앞에서 서명운동도 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