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품은 부천시 ‘환영’…2기 신도시 검단은 ‘우려’

3기 신도시 품은 부천시 ‘환영’…2기 신도시 검단은 ‘우려’

신성은 기자
입력 2019-05-07 14:36
업데이트 2019-05-07 14: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천시 “명품 자족도시 건설” vs 검단 “미분양 늪 빠질 것”

이미지 확대
정부가 고양시 창릉동, 부천시 대장동에 제3기 신도시를 짓겠다고 발표한 7일 오전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 신도시 대상 부지에서 농부들이 논일을 하고 있다. 2019.5.7  연합뉴스
정부가 고양시 창릉동, 부천시 대장동에 제3기 신도시를 짓겠다고 발표한 7일 오전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 신도시 대상 부지에서 농부들이 논일을 하고 있다. 2019.5.7
연합뉴스
수도권 3기 신도시에 경기도 부천 대장동·오정동·원종동 일대 343만㎡가 포함되자 부천시는 환영 입장을 밝혔지만 2기 신도시인 인근 검단 지역에서는 우려 섞인 견해도 나오고 있다.

장덕천 부천시장은 7일 “이번 신도시 지정을 계기로 부천이 영상문화산업단지와 함께 첨단산업 중심의 창조산업 허브 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반겼다.

2만 가구 4만7천명을 수용하는 부천 대장지구에는 68만㎡의 자족 용지와 첨단 산업단지가 조성돼 패키징·금형·로봇·조명·만화 등 부천시 5대 특화산업과 지식기반산업 관련 기업들이 입주하게 된다.

아울러 인근 계양 테크노벨리와 함께 660만㎡ 이상 매머드급 신도시 개발에 따른 교통대책으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중동 IC∼서운분기점 구간에 하부도로를 개설하고 서운IC를 신설할 계획이다.

봉오대로에는 현재 건설 중인 서서울고속도로 고강IC를 신설해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남북 교통량을 분산시킬 계획이다.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해 S-BRT(간선급행버스) 노선을 부천 종합운동장역으로 연결해 서울 접근성을 높이고, 홍대입구에서 원종역까지 계획된 지하철 노선 연장 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이밖에 굴포천 주변 수변공간은 22만㎡ 규모의 친환경 생태공원으로 조성하고, 굴포하수처리장과 자원순환센터의 시설을 지하화해 30만㎡ 규모의 멀티스포츠센터와 체험 학습장을 확보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장 시장은 “산업·문화·주거가 공존하는 친환경 명품 자족 신도시 건설을 위해 사업계획 초기 단계부터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부천 대장지구에서 약 8km 떨어진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에서는 3기 신도시 사업으로 인해 기존 신도시의 교통·교육 인프라 확충 속도가 지연될 수 있다며 우려 섞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검단신도시 주민들은 인접 지역에 상대적으로 입지여건이 좋은 신도시가 추가로 조성되면서 기존 신도시가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이라고 걱정하는 분위기다.

대장지구 외에도 검단신도시와 인접한 인천시 계양구에서는 이미 1만6천500가구 규모의 3기 신도시 계양테크노밸리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전상덕 검단주민총연합회 부회장은 “검단신도시 사업이 지난해 어렵사리 첫 삽을 떴으나 미분양사태가 나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로 인접 지역에 3기 신도시 계획을 내놨다”며 “검단신도시가 미분양의 늪으로 빠져서 헤어나올 수 없는 상태가 될 것 같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실망이 크다”고 호소했다.

지역 부동산 업계도 3기 신도시 추가 조성에 따라 7만 가구 규모 검단신도시에서 발생하고 있는 미분양 물량이 급증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최근 검단신도시에서 분양한 대방노블랜드 등은 1순위에서 대거 미달이 발생했다.

박상선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인천지부 서구지회장은 “1998년에 신도시 도시계획이 입안된 뒤 20년 만에 시작된 검단신도시 아파트 분양에서 미분양 물량이 나오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 인접 지역에 3기 신도시로 계양테크노밸리에 이어 부천시 대장동까지 신도시를 조성하면서 걱정이 크다”고 우려했다.

지역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인천 북부 지역에는 검단신도시 이외에도 검암역세권 개발과 민간주도의 도시개발 사업 등이 잇따라 진행되고 있어 공급 과잉 문제가 심각하다”며 “3기 신도시로 추가로 3만7천 가구가 공급될 경우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