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계엄군 발포 직전 광주 내려와 사살 명령”

“전두환, 계엄군 발포 직전 광주 내려와 사살 명령”

입력 2019-05-13 23:32
업데이트 2019-05-14 0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군 정보요원 출신 김용장씨 5·18 증언

“계엄군, 특수조직 꾸려 시민들 총격 유도”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보안사령관이던 전두환 전 대통령이 계엄군의 발포(5월 21일) 직전 광주를 방문해 시민군을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는 전직 미 정보요원의 증언이 나왔다. 또 계엄군은 ‘편의대’라는 특수 조직을 꾸려 광주에서 시민들의 방화, 총격 등을 유도하거나 직접 자행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신군부가 광주에서 ‘폭동’이 일어난 것처럼 계획적으로 연출한 뒤 전씨가 이를 빌미로 직접 사살을 지시했다는 것이다.

미군 정보요원 출신 김용장씨는 13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두환이 1980년 5월 21일 K57(제1전투비행단) 비행장에 와서 정호용 특전사령관, 이재우 505보안대장 등 모두 4명이 회의한 건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또 “당시 회의에서 사살 명령이 전달됐다는 게 제 합리적 추정”이라고 덧붙였다. 김씨는 당시 미 육군 방첩부대인 501 정보여단 광주파견대 소속이었다. 김씨는 또 “편의대라고 불리는 사복 군인 30~40명이 (1980년) 5월 20일 수송기를 타고 광주 비행장으로 왔다”면서 “비행기 격납고에 이들이 주둔 중이라는 첩보를 듣고 제가 직접 찾아가 눈으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그는 편의대의 임무에 대해 “(북한특수군이 저질렀다고 일각에서 주장하는) 방화와 총격, 장갑차·군 수송차량 탈취는 일반 시민이 했다고 보기 어려운 매우 극렬한 행위인데 남한 특수군 격인 편의대가 일반 시민들을 유도하거나 직접 벌인 소행이라고 추정한다”고 주장했다.

이근아 기자 leegeunah@seoul.co.kr



2019-05-14 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