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한빛 원전 1호 정상 유지… 출력 폭주 불가능”

한수원 “한빛 원전 1호 정상 유지… 출력 폭주 불가능”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19-05-21 17:56
업데이트 2019-05-22 02: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자력안전위 ‘안전조치 위반’ 발표 반박

無면허자 제어봉 조작 논란엔 “조사 중”

한국수력원자력이 지난 20일 제기된 안전조치 위반 논란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했다.

한수원은 21일 설명자료를 통해 “한빛 원전 1호기의 경우 모든 안전설비가 정상상태를 유지했으므로 체르노빌 원전과 같은 출력 폭주는 일어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수원이 규정을 어겨 체르노빌 사고 때처럼 원자로 출력이 폭주할 뻔했다는 일부 언론과 시민단체의 주장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일축한 것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10일 오전 10시 30분쯤 원자로 열 출력이 제한치(5%)를 초과하는 이상 상황이 발생했지만, 한수원은 원자로를 즉시 정지하지 않은 정황이 포착됐다고 밝혔다. 현행 원자력안전법에 따르면 열 출력이 제한치를 넘을 때 원자로를 즉시 멈춰야 한다. 또 면허가 없는 사람이 제어봉을 조작한 정황도 드러나 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제어봉은 원자로의 출력을 조절하거나 정지하는 장치다.

이에 대해 한수원은 “한빛 1호기는 지난 10일 오전 10시 30분 제어봉 인출을 시작해 원자로 출력이 18%까지 상승했지만, 발전팀이 이를 감지하고 오전 10시 32분에 제어봉을 삽입하면서 출력은 오전 10시 33분부터 1% 이하로 감소했고 오전 11시 2분부터는 계속 0% 수준을 유지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한빛 1호기는 원자로 출력 25%에서 원자로가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설계돼 있어 제어봉 인출이 계속됐더라도 더이상의 출력증가는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면허가 없는 사람이 제어봉을 조작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원자로 운전은 원자로조종감독자면허 또는 원자로조종사면허를 받은 사람이 해야 하지만, 원자로조종감독자 면허 소지자가 지시·감독하는 경우에는 해당 면허를 소지하지 않는 사람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번 한빛 1호기의 경우 정비원이 원자로조종감독자인 발전팀장의 지시·감독 아래 제어봉을 인출하였는지는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9-05-22 1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