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절반만 진행하고 비운 새만금… 2만여개 텐트 접은 대회장 적막감만

일정 절반만 진행하고 비운 새만금… 2만여개 텐트 접은 대회장 적막감만

설정욱 기자
설정욱 기자
입력 2023-08-09 02:32
업데이트 2023-08-09 06: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8일 오전 잼버리 야영장에서 스카우트 대원들이 텐트를 걷으며 조기 철수를 준비하는 모습. 뉴시스
8일 오전 잼버리 야영장에서 스카우트 대원들이 텐트를 걷으며 조기 철수를 준비하는 모습. 뉴시스
6년에 걸쳐 조성된 ‘2023 새만금 제25회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영지 활용이 단 일주일에 그쳤다.

조직위와 세계스카우트연맹이 태풍 ‘카눈’ 북상 소식에 새만금 잼버리 영지 철수를 결정하면서 8일 오전부터 156개국 3만 7000여명에 이르는 스카우트 대원의 이동이 시작됐다. 이들은 버스 1022대를 이용해 전국 각지로 이동했다.

잼버리 웰컴센터 앞에는 오전 7시부터 버스를 기다리는 대원들로 북적였다. 12일간의 여정에 필요한 짐을 넣은 큼지막한 가방을 메고 버스 타는 장소까지 걸어 도착했다. 오전 8시가 되자 대만 참가자들을 태운 버스가 가장 먼저 떠났다. 각국 대원들은 아쉬운 작별 인사를 하며 서로를 배웅했다.

버스를 기다리던 한 외국 대원은 “하고 싶은 프로그램이 많았는데 야영장을 나간다니 너무 서운하다”면서 “여러 곳으로 분산 배치되면서 다른 나라 친구들과 친해질 기회를 놓친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갑작스러운 단체 이동 결정에 운송을 맡은 버스 기사들도 혼란스러운 것은 마찬가지다.한 버스 기사는 “오전 일찍 차를 준비해 달라고 해서 왔는데 현장에 안내하는 사람이 없다”면서 “통역 지원도 없는 것 같아 대원들을 목적지까지 제대로 데려다줄 수 있을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오후 4시가 넘어가자 북적였던 대회장은 지원본부인 웰컴센터와 프레스센터를 제외하면 일부 청소·철거 인력만 남아 적막감마저 감돌았다. 2만여개의 텐트도 모조리 철거됐다. 듬성듬성 올라온 풀만 나부끼며 이곳이 매립된 간척지라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게 했다.

새만금 잼버리 영지는 1170억원을 투입해 6년에 걸쳐 조성됐다. 2017년 새만금이 잼버리대회 개최지로 선정된 이후 지역의 기대는 컸다. 바다를 메워 아무것도 없던 땅은 상하수도 공사 등 기초시설 조성부터 필요했다. 조직위도 이례적으로 다수 정부 부처가 포함돼 5인 공동위원장 체제였다. 그러나 대회 시작부터 각종 문제점이 드러났고 12일간의 일정도 절반만 진행됐다.
부안 설정욱 기자
2023-08-09 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