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성 치매 일으키는 단백질 발견

혈관성 치매 일으키는 단백질 발견

입력 2014-02-26 00:00
업데이트 2014-02-26 1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건국대 이종민·최동희 교수 연구팀

혈관성 치매는 알츠하이머 다음으로 고연령층에서 흔히 발병하는 인지장애다. 국내 연구진이 혈관성 치매를 일으키는 새로운 단백질을 찾아내 예방 및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26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이종민·최동희 교수 연구팀은 뇌에서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해마의 신경세포를 사멸하게 함으로써 혈관성 치매를 유도하는 단백질을 발견했다.

혈관성 치매는 기억력 등 인지기능과 행동조절에 관여하는 대뇌 주요부분에 뇌혈관질환이 발생해 생기는 치매다.

연구팀이 발견한 단백질은 세포에서 활성산소를 만드는 효소 중의 하나인 NADPH산화효소1(Nox1)이다. Nox1이 만든 활성산소는 지방과 DNA를 산화해 해마의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퇴행성 신경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만성 대뇌허혈이 활성산소와 연관 있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해마의 신경세포가 활성산소에 특별히 취약한 이유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상태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Nox1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식의 혈관성 치매를 예방·치료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혈관성 치매에 걸린 동물에 Nox 억제제를 처리한 결과, 해마 신경세포 사멸이나 인지기능 손상이 완화된 것을 확인했다. 또 해마 신경세포에서 Nox1 발현을 억제하면 DNA 산화, 신경세포 사멸, 인지기능 손상 등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미래부와 한구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결과는 내분비 및 대사 분야 국제학술지인 ‘항산화산화환원신호지’(ARS) 온라인판 2월6일자에 게재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