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수치료 1000원 vs 30만원…비급여 진료비용 ‘천차만별’

도수치료 1000원 vs 30만원…비급여 진료비용 ‘천차만별’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9-09-05 17:36
업데이트 2019-09-06 02: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정렌즈 등은 동네의원이 더 비싸
후각기능 검사 5000원 vs 27만원
지역별로도 격차… 서울이 가장 높아


건강보험 적용을 받지 못해 환자가 전액 부담해야 하는 동네의원의 비급여 진료비용이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비급여 진료 항목은 병원보다 동네의원이 오히려 더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5일 전국 3000여개 의원급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비급여 진료비용을 표본 조사해 분석한 결과 동네의원별로 비급여 비용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후각기능(인지 및 역치) 검사의 경우 동네의원 최저금액은 5000원이었지만 최고금액은 27만원이었다. 최저금액과 최고금액 간 차이는 54배에 달했다. 평균금액은 4만 2789원으로 최고금액(27만원)과 비교해 6.3배 차이를 보였다. 갑상선·부갑상선 초음파검사는 최저금액 1만원, 최고금액 20만원, 평균금액 4만 5505원으로 평균·최고금액 간 4.4배 차이가 났다.

도수치료는 시술 시간, 부위에 따라 최저금액은 1000원, 최고금액은 30만원으로 무려 300배의 차이를 보였다. 평균금액은 8만 9190원으로 평균·최고금액 간에는 3.4배 가격 차가 났다. 증식치료(사지 관절 부위)는 약제 종류나 부위에 따라 최저금액은 5000원, 최고금액은 20만원, 평균금액은 6만 2587원이었다. 평균·최고금액 간 가격 차는 3.2배였다. 치과의원에서 치과 임플란트는 최저 48만원, 최고 300만원, 평균금액 132만 7233원이었다. 평균·최고금액 간에 2.3배의 가격 차이가 났다.

한의원의 경우 추나요법을 받을 때 단순, 복잡, 특수의 최저금액은 1만원으로 같았고 평균·최고금액 간 차이는 2.5∼2.9배였다.

동네의원의 비급여 비용은 지역별로도 큰 가격 차이를 보였다. 7개 권역 중 서울지역이 대체로 다른 지역보다 비급여 진료비용이 높았다.

상급 병실료 1인실의 평균금액은 서울권이 18만 5752원으로 가장 높고 제주가 6만 9166원으로 가장 낮았다. 권역 내 평균금액과 최고금액 간 차이는 전라권이 2.6배로 가장 크고 제주권이 1.4배로 가장 작았다.

또 의원급은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보다 비급여 평균금액이 대체로 낮지만 도수치료, 조절성 인공수정체, 굴절교정렌즈 등 비급여 항목은 병원급보다 더 높았다. 후각기능(인지 및 역치) 검사는 의원의 평균·최고금액 간 가격 편차가 6.3배, 갑상선·부갑상선 초음파는 평균·최고금액 간 가격 편차가 4.4배로 병원급보다 훨씬 컸다.

최광숙 선임기자 bori@seoul.co.kr
2019-09-06 1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