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연임 하영구 씨티은행장 12년 장수 비법 “4%가 다르다”

4연임 하영구 씨티은행장 12년 장수 비법 “4%가 다르다”

입력 2010-03-12 00:00
업데이트 2010-03-12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영구(57) 한국씨티은행장이 사실상 12년 장기집권에 돌입했다. 2001년 한미은행장에 선임된 이래 연속 4차례의 은행장 타이틀이다. 웬만한 사람은 부행장도 하기 어려운 게 현실. 그것도 철저하게 성과로 평가하는 외국계 금융회사라는 것을 감안하면 유례를 찾기 어려운 대기록이다. 그가 가진 비법은 뭘까.

이미지 확대
“현직 시중은행장 중 실무를 가장 잘 꿰고 있는 사람이다. 여신부터 기업금융, 투자은행(IB) 분야까지 어지간한 수치는 소수점 두 자리 이하까지 바로 나온다.” 한 현직 은행장의 말.

그는 하 행장을 ‘본 투 비 어 뱅커(타고난 은행가·Born-to-be-a-Banker)’라고 표현했다. 이렇게 경쟁자들까지 하 행장이 실무에 밝고 빈틈 없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하 행장은 국내 은행인 중 대표적인 해외파다. 서울대 무역학과와 미국 노스웨스턴대 경영대학원에서 학위를 받은 후 1981년 씨티은행 서울지점에 입행했다. 입행 초기부터 승승장구를 거듭했다. 승진도 빨랐지만 웬만한 부서는 모두 다 거친 것이 은행 업무의 달인이 된 이유이기도 하다.

지인들은 그를 ‘외국계 회사형’ 또는 ‘실용형 인간’으로 정의한다. 한 외국계 증권사 임원은 “은행장이지만 큰일 아니면 비서와 함께 움직이는 일이 없고, 일이 생기면 과거에 어떻게 했는지를 떠올리지 않고 가장 빨리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찾는다.”고 말했다.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그때그때 열심히 일하는 장점을 씨티그룹 미국 본사가 높이 사는 것 같다고 말했다.

씨티은행의 한 임원은 “외국계 회사 CEO라고 하면 냉정할 것만 같지만 한번 맺은 인연은 소중하게 여기는 한국적 사고가 강하다.”고 말했다. 철저한 몸 관리도 그의 무기. 무슨 일이 있더라도 매일 아침 10㎞를 달리고 나서 하루를 시작하는 조깅마니아다.

무엇보다 씨티은행 본사가 그를 인정하는 것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 본사의 위기설 속에서 한국씨티은행만은 건전성을 지켰다는 점이다. 지난해 씨티은행의 순이자마진(이하 추정치)은 2.6%로 경쟁 은행들의 순이자마진 1.7~2.4%보다 높았다.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역시 17%로 다른 은행에 비해 2.64%포인트 이상 높다. 기본자기자본(T1) 비율도 14%로 국내에서 영업 중인 은행 가운데 최고수준이다.

그러나 하 행장이 강력한 도전에 직면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한국씨티은행 노조는 11일 내부 성명을 통해 씨티은행이 성장 없이 정체된 은행으로 머물고 있다며 비전을 제시하고 적극적인 성장전략을 펼 것을 요구했다. 노조 관계자는 “그동안 우리는 큰 리스크도 없었지만 그렇다고 큰 발전도 없었다.”고 평했다.

일부 시장의 평가도 비슷하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씨티은행은 외형을 크게 안 키우다 보니 위험 관리가 된 것이고, 수익성도 그리 확실치 않아 한마디로 성적을 따지면 어중간하다고 할 수 있다.”면서 “하 행장이 잘못한 것도 없지만 냉정히 말하면 잘한 것도 없다.”고 말했다.

유영규 정서린 김민희기자 whoami@seoul.co.kr

2010-03-12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