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국민소득 1만7000弗… 5년來 최저

1인 국민소득 1만7000弗… 5년來 최저

입력 2010-03-27 00:00
업데이트 2010-03-27 02: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율상승 탓 2년연속 뒷걸음 한은 “올 2만弗대 회복할 듯”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GNI)이 1만 7000달러대까지 떨어졌다. 2008년(1만 9296달러)에 이어 2년 연속 뒷걸음질쳤다. 경기 침체에다 환율상승까지 겹친 게 주된 이유다. 다만, 올해는 경제성장률도 원화가치도 회복해 1인당 국민소득이 다시 2만달러대를 회복할 전망이다.

이미지 확대
한은이 26일 발표한 ‘2009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1만 7175달러로 2008년보다 2121달러 감소했다. 2004년 이후 5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1인당 GNI는 2004년 1만 5082달러, 2005년 1만 7531달러, 2006년 1만 9722달러, 2007년 2만 1659달러로 증가세를 이어오다 2008년부터 하락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이 1만 7000달러대까지 내려간 주범은 환율상승(원화의 가치 하락)이다. 1인당 국민소득은 국민총소득을 인구로 나눠 달러화(연평균)로 환산한다.

실제 원화로 계산한 1인당 국민소득은 2008년 2127만원에서 2009년 2192만원으로 소폭 상승했다. 2192만원이란 액수는 처음으로 2만달러 시대를 열었던 2007년 원화기준 1인당 국민소득 2015만원보다도 112만원이 많다.

하지만 2008년과 2009년 각각 원화의 가치는 18.7%, 15.7%씩 내려갔다. 물론 경기 하락으로 국민총소득 증가가 환율이란 변수를 넘지 못한 점도 원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국민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GNI는 교역조건 개선에 힘입어 1.5% 증가해 2008년의 마이너스(-0.6%)에서 플러스로 전환됐다. 김명기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1인당 GNI는 환율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현재만 보고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면서 “환율이 최근 수준을 유지한다면 올 1인당 GNI가 2만달러를 넘을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은 2008년보다 0.2% 성장해 한은이 지난 1월 발표한 속보치와 같았다.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것은 다행이지만 1998년(-5.7%) 외환위기 이후 11년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이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성장률이 2.9%→-1.6%, 서비스업이 2.8%→1.0%로 낮아졌다. 건설업은 -2.5%→1.9%로 상승했다.

현재와 미래의 성장력을 나타내는 저축률과 투자율도 감소했다. 총저축률은 30.0%로 전년보다 0.5%포인트 하락했다. 1983년 28.9% 이후 27년 만에 최저치였다. 국내 총투자율은 전년보다 5.2%포인트 떨어진 25.8%를 기록해 1998년 25.2% 이후 11년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10-03-27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