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이르면 8월쯤 인상할 듯

기준금리 이르면 8월쯤 인상할 듯

입력 2010-05-13 00:00
업데이트 2010-05-13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기준금리 인상이 머지 않았음을 시사했다. 금리 인상이 시기상조라던 그동안의 입장에서 돌아서 민간 고용사정 호전과 물가상승 압력 증대 등 변화한 상황을 제시했다.

이미지 확대
특히 지난 13개월간 한은이 유지해 온 “당분간 금융완화 기조를 유지한다.”는 표현에서 ‘당분간’이란 단어를 뺐다. 지난달 고용사정이 2008년 글로벌 위기 이후 가장 뚜렷한 회복세를 보인 것이 한은의 기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기준금리를 연 2.00%로 유지했다. 지난해 2월 이후 15개월째 같은 수준이다. 남유럽 국가의 재정난, 중국의 긴축 움직임 등을 금리 동결의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김 총재는 금통위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금리 인상 여건이 성숙했음을 여러 차례에 걸쳐 언급했다.

그는 “경제 성장률이 잠재 성장률 수준에 근접했고 하반기에는 잠재 성장률을 웃돌아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건설투자가 아직 약간 부진하지만 고용은 민간 부문을 통해 많이 회복됐다.”고 평가했다.

이날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392만 4000명으로 1년 전에 비해 40만 1000명이 늘었다. 2005년 8월(46만 5000명 증가) 이후 56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이다. 워낙 1년 전 상황이 안 좋았기 때문에 증가폭이 실제보다 더 높게 나타나기는 했지만 취업자 수 자체도 글로벌 위기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실업률은 3.8%로 지난해 12월(3.5%) 이후 4개월 만에 3%대에 복귀했다. 1~3월 줄곧 100만명을 웃돌았던 실업자 수도 4월 93만 4000명으로 10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김 총재는 금통위 결정문에서 ‘당분간’이란 표현을 뺀 것과 관련해 “상당히 많은 경제 변수가 회복 추세에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면서 “그러나 당장 행동(기준금리 인상)을 하기는 어려우며 국내외 경제동향과 많은 변수의 추이를 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기준금리 인상이 이르면 8월쯤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난 3일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올 2·4분기 경제성장률이 나오기 전까지 현재의 정책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고, 한은은 7월 말에 2분기 성장률을 발표하기 때문이다.

김태균 임일영기자

windsea@seoul.co.kr
2010-05-13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