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째 2%대 ‘안정’ 물가 이달 이후가 문제

4개월째 2%대 ‘안정’ 물가 이달 이후가 문제

입력 2010-06-02 00:00
업데이트 2010-06-02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월 소비자물가가 전년동월 대비 2.7% 오르는 데 그쳤다. 4개월째 2%대의 안정적인 흐름이다.

이미지 확대
정부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한 근원물가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더 낮게 나타나는 등 전반적으로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물가상승 위험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어 하반기에는 3%를 넘어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통계청은 1일 5월 소비자물가가 전월 대비로는 0.1%, 전년동월 대비로는 2.7%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상한파로 크게 올랐던 농축수산물 가격 하락이 두드러졌다. 농축수산물 51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출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전월 대비 3.2% 하락했다. 그러나 이미 가격이 크게 올라 있는 상태에서 내린 것이어서 전년동기 대비로는 8.8% 올랐다. 이 가운데 신선채소는 전월 대비 12.9% 하락했다.

물가안정의 일등공신은 가중치가 높은 서비스(집세·공공 및 개인서비스) 물가가 전월 대비 0.1%, 전년동월 대비 1.9%로 안정적이었던 데 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현재 물가는 물가 관리목표(3.0±1.0%) 범위 안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면서 “국제유가 등 공급 측면에서 불확실성 요인은 있지만 이달에도 물가 상승률은 2%대에 머물 전망”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압력 우려는 여전하다. 지난해 1~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 대비 3.6~3.9% 수준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6월 3.3%, 7월에 3.1%로 빠르게 안정을 찾았다. 6월부터는 전년동월 대비의 기저효과를 볼 수 없다는 얘기다.

관건은 농축수산물 가격이 얼마나 내리느냐다. 통계청 관계자는 “6월에 전월 대비로 전혀 안 오르더라도 전년동월 대비로는 2.8%쯤 상승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선거 이후 공공요금 현실화도 물가상승 요인으로 지목된다.

황인성 삼성경제연구소 상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기저효과로 최근 넉달 연속 2%대를 유지했지만 하반기에는 3%대 중반까지 갈 것 같다.”면서 “선거 이후 공공요금 인상 등도 물가상승 요인”이라고 말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0-06-02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