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경제>일반인.전문가 시각차 여전

<하반기경제>일반인.전문가 시각차 여전

입력 2010-06-24 00:00
업데이트 2010-06-24 1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 경제가 올 상반기에 급속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일반 국민의 체감 지수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우리 경제가 다소 좋아졌다면서 정부의 입장과 맥을 같이했다.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 6월 7~11일 교수.기업인.연구원 등 전문가 333명과 일반 국민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일반 국민의 37.1%는 6개월 전과 비교해 우리 경제가 약간 나빠졌다고 답했다.

 또 9.6%는 매우 나빠졌다고 답했고 비슷하다는 반응도 37.0%에 달해 일반 국민의 84% 가까이가 경기 회복을 체감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약간(15.2%) 또는 매우(0.5%) 좋아졌다 답변은 모두 합쳐 16% 정도에 그쳤다.

 반면 전문가들은 약간(58.0%) 또는 매우(7.2%) 좋아졌다는 응답이 65%나 됐다.또 비슷하다는 반응은 20.7%,약간(12.0%) 또는 매우(2.1%) 나빠졌다는 답변은 14%에 그치면서 일반 국민의 인식과 대조를 이뤘다.

 올 하반기에 중점을 둬야 할 정책으로는 일반 국민의 70.7%가 일자리 및 민생안정을 꼽았고 경기활성화가 35.5%였다.전문가의 49.2%도 일자리 및 민생안정을 꼽았고 재정건전성 제고가 37.2%로 뒤를 이었다.

 올 하반기에 우리 경제에 대한 위협 요인으로는 전문가의 72.1%가 국제금융시장 불안을 지적했으며 주요국의 긴축정책이란 답변도 33.6%에 달했다.

 서민 생활 안정을 위해서는 일반 국민과 전문가 모두 고용 창출과 물가.부동산시장 안정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응답했다.

 한편 전문가의 42.3%는 올해 우리나라가 국격 제고를 위해선 주요 20개국(G20) 의장국으로서 거시경제정책의 국제공조 강화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