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화업계 “가벼운 車 만들어야 산다”

유화업계 “가벼운 車 만들어야 산다”

입력 2010-07-05 00:00
업데이트 2010-07-05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더 가볍고 강하게’

자동차 경량화 사업이 석유화학업계의 신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자동차를 야무지게 만들려는 노력이 오로지 완성차업계만의 전유물은 아닌 것이다.

●무게 1% 줄이면 연비효율 1%↑

고효율 연비를 확보하려면 엔진 기술의 향상과 함께 차량의 무게를 줄이는 것이 관건이다. 전문가들은 자동차 무게를 1% 줄이면 연비 효율을 대략 1% 높일 수 있다고 본다.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무게를 줄이려면 기존의 소재와 부품을 더 단단하면서도 가벼운 것으로 바꿔야 한다. 석유화학업체들이 이런 고강도·초경량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해 자동차 경량화 시장에 진출하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4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L&C는 2007년 미국 자동차부품소재 개발업체 아즈델을 인수하면서 첨단소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화L&C가 생산·공급하는 대표적인 첨단소재는 유리섬유강화복합소재(GMT). GMT는 냉연강판과 강도가 비슷하면서도 무게는 30% 이상 가볍다. 주로 범퍼빔, 시트 구조물 등에 적용된다.

한화L&C의 궁극적인 목표는 강철로 만들어진 차체를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플라스틱 자동차를 만들려는 것이다. 2007년 선보인 현대자동차의 컨셉트카 ‘카르막’은 외판 전체가 한화L&C가 개발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호남석유화학도 지난해 삼박LFT㈜를 인수해 자동차 경량화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국내 최초로 플라스틱 도어모듈 소재 개발에 성공해 현재 YF쏘나타, TF로체 등에 적용하고 있다. 부품 수를 13개에서 5개로 줄이고 무게도 절반 수준으로 줄였다. 그 외에도 엔진 부품과 범퍼 등에 플라스틱 제품을 더 많이 적용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플라스틱 소재 시장 올 5조원

제일모직은 2007년 GM으로부터 내열 ABS 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8종에 대해 ‘GM 글로벌 소재승인’을 획득해 플라스틱 내외장재를 공급했다. 삼성토탈은 나노복합소재를 개발해 현대기아차 등에 공급하고 있으며, 효성도 더 가벼운 타이어 소재 연구를 진행 중이다. LG하우시스는 자동차 경량화 사업 진출을 공식 선언하고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 등을 중심으로 연구개발 중에 있다.

자동차에 플라스틱 적용을 늘리기 위해 업계가 풀어야 할 과제는 가격 문제이다. 아무리 더 강하고 가벼운 소재를 개발해도 기존 소재와 가격차가 크면 상용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 업종 특성상 국제유가에 따라 가격 급변동이 심한 것도 문제다. 자동차 경량화 관련 플라스틱 소재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올해 5조원 정도로 전망된다.

조승연 HMC투자증권 책임연구원은 “2013년까지 자동차 경량화 관련 플라스틱 시장이 6조원을 넘을 것”이라면서 “첨단 플라스틱 소재 적용이 범용화되면 가격도 점점 떨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2010-07-05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