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산층 31% 금융위기후 소득 감소”

“서울 중산층 31% 금융위기후 소득 감소”

입력 2010-07-05 00:00
업데이트 2010-07-05 08: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뒤 서울에 사는 중산층 세 가구 중 한 가구 꼴로 소득이 감소했으며, 절반 이상의 가구는 생활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서울시정개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서울에 사는 월평균 소득 150만∼450만원의 중산층 1천가구를 대상으로 생활실태를 면접 조사한 결과, 31.1%가 ‘금융위기 후 수입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수입 감소 가구의 비율을 소득수준별로 보면 ‘150만∼200만원’ 39.5%, ‘200만∼300만원’ 33.6%, ‘400만∼450만원’ 27.7%, ‘300만∼400만원’ 26.5% 등으로, 대체로 소득이 낮을 수록 높았다.

또 전체의 절반이 넘는 54.1%가 ‘금융위기 전보다 생활비를 줄였다’고 답했으며, 지출을 줄인 항목은 외식비, 식료품비, 사교육비 등 순이었다.

금융위기 이후 주거 조건이 악화된 가구의 비율은 6.4%였으며, 이중 32.8%는 살던 집의 규모를 줄였고 31.3%는 자가에서 전세 또는 월세로 옮겼다.

수입이 지출보다 적어 ‘적자재정’을 겪은 가구는 39.5%였고 금융위기로 은행이나 친지, 사채를 통해 빚을 진 가구도 31.8%였다.

경제적인 이유로 병원을 이용하지 못한 가구 비율은 5.9%였으며, 월평균 가구소득 ‘150만∼200만원 미만’ 가구는 이 비율이 열 가구 중 한 가구(11.9%)에 달했다.

특히 금융위기 이후 ‘가족간 대화가 줄었다’는 가구가 12.6%, ‘다투는 횟수가 늘었다’는 가구가 10.1%였으며, ‘이혼을 심각하게 고려한 적이 있다’ 가구도 5.5%에 달해 경제 문제가 가족관계에도 악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혜 선임연구위원은 “금융위기는 1997년의 외환위기처럼 대량실업이나 고용환경 악화를 유발하진 않았지만 전반적인 경기침체로 중산층의 경제 상태가 악화됐다. 중산층을 포함한 보편적 복지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조사대상은 무작위 추출로 선정했으며 조사결과의 신뢰수준은 95%, 오차는 ±3.1%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