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여행 IC카드 잘 사용하세요”

“유럽여행 IC카드 잘 사용하세요”

입력 2010-07-06 00:00
업데이트 2010-07-06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긁기 아닌 비밀번호 입력 방식 번호 틀렸다간 거래중지 낭패

이미지 확대
지난달 프랑스 파리로 출장을 다녀온 오모(28)씨는 현지에서 신용카드 결제가 안돼 불편을 겪었다. 국내에서 발급한 해외 겸용 신용카드였지만 식당, 백화점, 편의점 등 어딜 가나 먹통이었다. 귀국한 뒤 은행에 물어보니 ‘IC 카드’의 비밀번호를 잘못 눌러 카드 사용이 정지됐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유럽에서 휴가를 보낼 생각이라면 신용카드부터 꼼꼼히 챙겨야 한다. 프랑스, 영국 등 유럽 국가에서는 ‘스마트 카드’로 불리는 IC카드가 보편화되어 있다. 이 카드는 표면에 가로 세로 1㎝ 크기의 금색 IC칩이 붙어 있어, 카드단말기에 긁지 않고 꽂아넣은 뒤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기존 마그네틱 카드보다 불법 복제의 위험이 낮다.

문제는 한국인들이 IC카드에 대해 잘 모른다는 점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국내에서 사용되는 신용·체크카드에 IC 칩이 붙어 있는 비율은 96%가량 된다. 그러나 유럽처럼 IC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단말기가 가맹점에 널리 보급되지 않은 탓에 여전히 마그네틱선을 긁어서 결제하는 소비자가 대부분이다.

반면 유럽에서는 IC칩이 붙은 카드는 반드시 이 방식으로 결제해야 한다. 신용카드의 4~6자리 비밀번호를 모르고 있거나 잘못 입력하면 카드 사용이 곧바로 중지돼 낭패를 보게 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3년전부터 금융당국의 권장으로 IC카드 발급이 늘었지만 이에 대한 고객의 인지도는 매우 낮다.”면서 “해외여행 중에 비밀번호 입력 오류로 카드를 사용하지 못한 고객들의 항의가 빗발쳐 카드를 판매할 때 이 부분을 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0-07-06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