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기축통화는 내 차지” 위안·루블화의 꿈

“포스트 기축통화는 내 차지” 위안·루블화의 꿈

입력 2010-07-06 00:00
업데이트 2010-07-06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은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만들기 위해 조용하게 달러의 뒤통수를 치고 있다.”

지난 4월 말 스탠더드 차터드 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제라드 라이언스는 파이낸셜타임스에 쓴 칼럼에서 포스트 미국을 꿈꾸는 중국이 달러 독주에 제동을 걸 수 있다고 전망했다. 라이언스는 “중국은 위안화가 달러를 대체할 수 있다고 대놓고 말하지는 않지만 대외 교역에서 위안화 결제를 확대하고, 주변국들과 통화 스와프를 확대하며 영향력을 늘려 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통화스와프 확대하며 영향력 높여가

기축통화는 그 자체로 권력이다. 한 나라의 경제규모는 그 나라가 기축통화를 얼마나 보유하고 있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에 기축통화를 발행하는 나라는 세계 경제를 조율하는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중국이 오랜 불신에 시달려온 달러화나 재정위기로 어려움에 처한 유로화의 지위를 겨냥해 다각도의 움직임을 보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오래도록 미국에 가려 있던 러시아 역시 중국과 같은 꿈을 꾸고 있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은 위안화와 루블화를 기축통화로 포함시키는 방안에 대해 지난달 중국 지도부와 공개적으로 의논했다. 그는 “전 세계는 6개의 기축통화를 원한다.”고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며 “인도, 중국 등 브릭스 국가 통화가 유력한 대안이 될 것”이라고 천명했다.

●“제한적 조건거래·협소한 시장 해결해야”

중국과 러시아의 꿈은 제한적이지만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SDR)을 구성하는 바스켓 통화를 통해서다. SDR은 IMF가 회원국 중앙은행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한 통화기금으로 현재 달러와 유로, 엔, 파운드화로 구성돼 있다.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 IMF 총재는 지난달 “중국 위안화를 바스켓 통화에 포함시키는 것이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위안화와 루블화의 야심을 이루기 위해서는 공통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제한적인 조건에서 거래되고, 광범위한 시장을 갖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을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용어 클릭]

●기축통화 로버트 트리핀 예일대 교수가 주창한 개념으로 국가간의 결제나 금융거래의 기본이 되는 통화다. 가치 변화가 가장 적고 누구나 선호하는 금의 유통량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도입됐다. 1944년 미국 브레턴우즈에서 열린 유엔회의에서 ‘달러를 언제든지 금으로 교환 가능하다.’는 ‘금태환 보장’ 조건을 전제로 달러가 기축통화의 위치를 차지했다.
2010-07-06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