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FT “애플 따라가는 삼성전자,반도체빼곤 고전”

英FT “애플 따라가는 삼성전자,반도체빼곤 고전”

입력 2010-07-09 00:00
업데이트 2010-07-09 08: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지만 반도체 부문을 제외한 패널.휴대전화.디지털미디어 부문에서는 고전하고 있다고 영국 경제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8일 보도했다.

FT는 ‘삼성(Samsung)’이라는 제목의 렉스 칼럼에서 “삼성전자의 4~6월 영업이익이 2분기 연속으로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웠다”면서 “순이익 측면에서 일본의 상위 19개 기술 및 소비자가전 기업들의 순이익을 모두 합한 것보다 많다”고 최근 발표된 영업실적을 높이 평가했다.

이 신문은 그러나 “이러한 실적의 뒤에는 한국 최대 재벌 삼성의 간판 계열사인 삼성전자가 매우 우수한 반도체 부문과 그저 그런 패널.휴대전화.디지털미디어 부문으로 점점 분화되고 있다는 사실이 감춰져 있다”고 지적했다.

매출의 25%에 못미쳤던 반도체 부문이 올해에는 영업이익의 5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는 반면 패널.휴대전화.디지털미디어 부문은 지난 몇년간 혁신 보다는 속도를 우선시 해왔기 때문에 고전하고 있다는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FT는 “패널.휴대전화.디지털미디어 부문에서는 삼성전자가 먼저 행동에 나서기 보다는 다른 업체의 행동에 대응하는 수세적 입장을 보여왔다”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판매와 마케팅에 1달러를 지출할 때마다 연구개발에 5년전에는 58센트를 투자했으나 지난해에는 48센트로 줄어들었다.

반면 애플은 같은 기간 연구개발 투자가 24센트로 2센트 증가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결과적으로 삼성전자는 소비자들의 심리를 끌어 당기는 경쟁을 주도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고 이 신문은 평가했다.

FT는 끝으로 “삼성전자의 태블릿 PC 갤럭시탭은 애플의 아이패드와 화면 크기만 빼면 신비할 정도로 닮았다”면서 “다른 업체를 따라가는 삼성전자의 특성(Me-too qualities)은 애플의 시가 총액이 2천260억 달러로 삼성전자의 2.5배 수준이라는 지표에 그대로 반영돼 있다”고 꼬집었다.

런던=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