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값 하락폭 보니…역시 강남불패?

아파트값 하락폭 보니…역시 강남불패?

입력 2010-09-13 00:00
업데이트 2010-09-13 08: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말과 비교해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의 아파트값이 일제히 내린 가운데 서울 강남 3구(서초·송파·강남구)는 하락폭이 서울 다른 지역이나 신도시 등보다 훨씬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수도권과 지방의 부동산 경기가 함께 움직였던 예전과 달리 부산,대전 등은 개발 호재 등으로 가격이 크게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국민은행의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작년 말 대비 아파트 매맷값 변동률은 지난주를 기준으로 서울 -2%,인천 -2.4%,경기 -3.2% 등이었다.

 서울은 강북 14개구(-2.3%)가 강남 11개구(-1.7%)보다 하락률이 높은 가운데 가장 많이 내려앉은 곳은 도봉구(-4.5%)였고 노원구(-3.9%),은평구(-3.8%),강서·양천구(각 -3.0%),성북구(-2.5%)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서초구는 25개구 중 유일하게 0.2% 올랐고 강남구(-1.6%),송파구(-1.7%)의 내림폭도 평균 하락률보다 낮았다.

 아파트값은 경기권에서 많이 떨어졌다.

 하락률 상위 10개 지역에 과천(-7.3%),일산 서구(-7.3%),양주(-6.3%),일산 동구(-6.1%),파주(-5.7%),의정부(-4.9%),김포(-4.8%),용인 수지(-4.8%),동두천(-4.7%),고양 덕양(-4.6%) 등이 포함됐다.

 한편 작년 말과 비교해 6대 광역시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부산이 9.9% 뛴 것을 비롯해 평균 3.6%,기타 지방은 4.6% 올라 수도권과 대조를 보였다.

 상승률 1~10위는 충남 계룡(17.4%),부산 해운대구(16.4%),경남 진해(15.2%),부산 북구(14.5%),대전 유성구(14.1%),대전 서구(13.9%),부산 진구(13.7%),대전 대덕구(11.7%),창원(11.6%),부산 사하구(11.6%) 순이었다.

 박원갑 스피드뱅크 연구소장은 “가격 상승기에는 서울 강남 재건축을 진원지로 점차 주변으로 퍼져 나가지만 하락기에는 바깥 지역부터 떨어지는 현상이 되풀이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예전에는 수도권의 부동산 경기가 지방에까지 영향을 줬지만 2005년부터 지방 시장이 수도권 상황과 무관하게 움직이는 디커플링(decoupling,탈동조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