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커지는 대기업·中企 생산지수 격차

갈수록 커지는 대기업·中企 생산지수 격차

입력 2010-09-20 00:00
업데이트 2010-09-20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글로벌위기 이후 2배 벌어졌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相生)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양쪽의 국내 생산규모 격차가 2008년 글로벌 위기 이전의 2배 수준으로 벌어졌다. 전문가들은 양극화 심화는 경기 회복기의 전형적인 현상으로, 둘 간의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미지 확대


19일 통계청의 산업통계를 분석한 결과 올 2분기 상시 종사자 300명 이상 대기업의 생산지수는 150.5에 이른 반면 300명 미만 중소기업은 124.5에 그쳤다. 둘 사이의 격차 26.0포인트는 2005년 현재와 같은 통계편제가 이뤄진 이후 최대폭이다. 2005년을 기준(100)으로 대기업의 생산은 50% 이상 늘어났지만 중소기업은 24% 남짓밖에 생산이 늘어나지 않았다는 얘기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합한 평균 생산지수는 142.4였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기 직전인 2008년 2분기 생산지수는 대기업 131.2, 중소기업 117.3으로 격차가 13.9포인트밖에 나지 않았다. 이때와 비교하면 격차가 2배 수준으로 벌어진 셈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글로벌 위기 이후의 수출 호조로 정보기술, 자동차 등 대기업 중심 산업은 급성장한 반면 중소기업은 정체가 지속되면서 둘 사이의 격차가 심화됐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중소기업이 많은 섬유 제조업의 생산지수가 2008년 2분기에서 올 2분기 사이 3.0포인트(95.7→98.7) 상승에 그친 것을 비롯해 의복·액세서리·모피제품은 1.5포인트(111.8→113.3), 펄프·종이 및 종이제품은 0.1포인트(106.2→106.3) 성장에 그쳤다. 가죽·가방 및 신발은 12.6포인트(101.6→89.0) 하락했다.

반면 수출 중심 업종인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은 생산지수가 같은 기간 163.3에서 206.2로 42.9포인트 상승했다. 기타기계 및 장비는 31.5포인트(128.3→159.8), 전기장비는 19.1포인트(113.6→132.7), 자동차 및 트레일러는 12.2포인트(124.3→136.5) 올랐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바닥까지 내려갔던 제조업이 빠르게 반등하는 과정에서 대기업에서 만드는 반도체 등 첨단제품은 빠른 상승세를 탄 반면 섬유 등 중소기업 제품들은 회복세가 더뎠다.”면서 “중소·내수 업종 기업에 다양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태균·유영규기자

windsea@seoul.co.kr
2010-09-20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