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현대건설 인수전 참여 선언

현대차그룹, 현대건설 인수전 참여 선언

입력 2010-09-27 00:00
업데이트 2010-09-27 15: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늘 중 인수의향서 제출…“현대엠코와 합병 안해”

 현대자동차그룹이 27일 현대건설 인수 참여를 공식 선언하고,매각주간사인 메릴린치증권 서울지점에 인수의향서를 제출했다.

 이로써 올해 인수.합병(M&A) 시장의 ‘최대어(最大魚)’로 꼽히는 현대건설 인수전은 오래전부터 인수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혀온 현대그룹과 현대차그룹 등 두 ‘현대가(家)’ 그룹의 힘겨루기로 진행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공시와 함께 보도자료를 내고 “그룹의 미래 성장동력 사업 강화 및 시너지 창출을 위해 현대건설 매각 입찰에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인수 참여 배경에 대해 “그동안 그룹 숙원사업이었던 현대제철 일관제철소를 성공적으로 완공했고,자동차 사업도 글로벌시장에서 안정적인 궤도에 올랐기 때문에 미래성장을 위한 그룹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우선 현대차그룹은 현대건설을 인수할 경우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원전 등의 친환경 발전 사업에서부터 주택용 충전 시스템과 연계된 친환경 주택,하이브리드(HEV) 및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에 이르는 에코 밸류 체인을 완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대건설의 사업 영역도 세계 150여 국가에 자동차를 공급하면서 8천여 곳에 글로벌 생산 설비와 판매 거점을 확보하고 있는 현대차그룹의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하면 글로벌 성장기반을 한층 더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그룹 측은 강조했다.

 이밖에 기존 현대차그룹 사업인 해외 고속철 및 철도차량 사업과 연계가 가능하고 현대제철과 현대하이스코로부터 안정적으로 건설 자재를 조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그룹의 기존 사업영역과의 시너지 효과와 플랜트 및 엔지니어링 분야의 역량 제고를 통해 현대건설은 세계적인 종합 엔지니어링 회사로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위해 인수 후에는 투자를 확대하고 전문 인력도 적극 확충해 일자리 창출 등 국가 경제에도 기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룹 측은 아울러 현대건설의 현행 조직과 인력을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는 방침도 밝혔다.

 그룹은 또 현대건설을 인수할 경우 현대엠코와의 합병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룹 관계자는 “현대건설은 종합엔지니어링 및 해외건설 등에 강점이 있고 현대엠코는 그룹 내 사옥 및 제조시설의 개보수 및 관리에 치중하여 차별화된 분야에 대해 개별 육성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인수자금과 관련해 현대차그룹은 그룹 내 자금력으로 현대건설 인수에 독자적으로 참여하기로 했다.

 전략적 투자자 또는 재무적 투자자의 참여 시 과도한 경영권 및 수익률 요구의 부담이 있으므로 현대건설의 인수에 그룹 내부 자금을 이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그러나 이날 그룹 내에서 인수전에 참여할 계열사 명단은 공개하지 않았다.

 현대차그룹은 현대건설 인수 검토를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해 왔으며,골드만삭스,삼일회계법인,HMC투자증권,김&장을 각각 재무,회계,법률 자문으로 선정한 바 있다.

 한편,현대그룹은 현대차그룹의 현대건설 인수참여 발표에 대해 공식 보도자료를 내고 “현대건설이 어려웠을 때는 지원을 외면하다가 정상화되자 이제 와서 현대그룹과 경쟁해 현대건설을 인수하겠다는 것은 유감”이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는 현대그룹이 2000년 유동성 위기에 몰린 현대건설을 지키려고 현대기아차그룹에 지원을 요청했다가 외면받은 일을 지적한 것이다.

 현대그룹은 “예정대로 10월1일 이전에 현대건설 인수의향서를 제출할 계획”이라며 오래전부터 인수 준비를 해온 만큼 일정에 따라 차분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건설 채권단은 지난 24일 현대건설 지분 매각 공고를 내고 11월 초 본입찰을 실시해 12월 말까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및 본계약 체결을 추진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