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배추 이어 ‘귀한 깍두기’

金배추 이어 ‘귀한 깍두기’

입력 2010-10-06 00:00
업데이트 2010-10-06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 1개당 4000원 안팎

무값도 배추값 못지않은 초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기상이변이 가을 무 농사에도 타격을 주었고, 유통업계는 적어도 이달 말까지 무값의 고공행진을 예상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이마트에서 무는 1개당 4150원에 판매되고 있다. 추석연휴 직전의 3000원보다는 38.3% 올랐고, 지난해 이맘때의 1180원과 비교하면 251.7%나 비싸졌다. 농협 하나로클럽 양재점에서도 지난 4일 1개당 3990원에 가격이 형성돼 추석 전의 3380원보다는 18%, 지난해의 1250원보다는 219.2%나 상승했다. 무는 특히 8월 중순부터 9월 초까지 이어진 호우로 강원지역 고랭지의 무 파종과 수확이 늦어지는 바람에 산지가 이동하는 시기에 ‘물량 공백’이 생기면서 공급이 불안정해졌다.

이미지 확대


이마트 측은 예년에 10대차 분량이 나왔던 산지에서 5대차 분량밖에 나오지 않는다고 밝혔다. 배추는 얼마 후 가격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지만 오히려 무는 배추에 비해 조기출하 가능한 물량이 적고 쓰임은 다양해 10월말∼11월초까지 무값이 떨어질 요인이 별로 없을 것으로 관측했다. 최근 배추김치의 대체 품목이 깍두기로 옮겨 가면서 무값 강세를 부채질한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 농산물 중간유통인은 “무 공급이 줄어든 상황에서 배추 대신에 무를 쓰는 곳이 늘어나고 있어 무값이 배추값 이상으로 뛰어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0-10-06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