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10곳 중 7곳 환율대책 無”

“국내기업 10곳 중 7곳 환율대책 無”

입력 2010-10-17 00:00
업데이트 2010-10-17 11: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축통화를 가진 주요 국가의 ‘환율 전쟁’으로 국제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는 가운데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환율위험에 대한 대비책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7일 전국 대·중소기업 500곳을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26.4%(중복응답)만이 환율위험 헤지 상품에 가입했다고 답했다.

 원자재 위험 헤지 상품에 가입한 기업이 6.6%,금리는 6.4%,신용은 3.0%로 집계됐다.중복 기업을 빼면 이 같은 금융위험 헤지 상품에 가입한 기업의 비율은 30.8%였다.

 그러나 이런 헤지 상품의 필요성에 대해선 59.8%가 “그렇다”고 답해 실제 가입률보다 높았다.

 환율 위험 대비책이 있는 대기업은 23.0%,중소기업은 28.7%로 조사됐다.

 헤지 상품을 가입했다는 기업 중에서도 관련 전문인력을 보유한 곳은 7%에 그쳤다.

 금융위험을 줄이기 위해 이들 기업은 헤지 상품 가입 지원(37.6%),관련 교육 제공(35.6%),위험 헤지 필요성 홍보(18.4%),관련 공기업의 지원 확대(8.4%) 등의 정부 지원책을 내놨다.

 대한상의는 “환율 위험은 선물환,환율파생상품으로 완화하지 못하면 급격한 환율변동에 대처할 방법이 없다”며 “선진국 기업들은 환율전쟁에 대비해 투자은행 또는 전문기관을 통해 금융위험에 대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