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률 널뛰기 ‘복불복’ ELD

수익률 널뛰기 ‘복불복’ ELD

입력 2010-10-25 00:00
업데이트 2010-10-25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개 시중은 행 판매 128개 상품 분석

요즘 주가지수연동예금(ELD)의 인기가 높다. ‘초저금리 시대’를 맞아 정기예금보다 짭짤한 수익을 노릴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시중은행의 ELD 상품을 분석해 보니 수익률이 1%에 불과한 것도 있는 등 상품 간 수익률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민·우리·신한·하나·기업·외환은행 등 6개 시중은행에서 판매해 올해 만기가 된 128개 ELD를 분석해 보니 최고 수익률과 최저 수익률의 차이가 12% 넘게 났다.

이미지 확대
최고 수익률은 13.38%인 반면 최저 수익률은 1%에 불과했다. 평균적으로는 정기예금보다 금리가 높았다.

●지난해 평균 5.77%… 3개는 1%

ELD 상품의 평균 수익률은 5.77%로 지난해 정기예금 평균금리(3.2%)보다 2.57% 포인트 높았다. 4~8%의 수익률을 거둔 ELD가 전체의 75%를 차지했다. 수익률 8% 이상인 상품은 9.4%였다.

문제는 ELD 수익률이 주가와 연계해 결정되기 때문에 만기 때의 주가에 따라 ‘복불복 게임’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정기예금보다 높은 금리를 기대하고 가입해도 1년 만기가 지난 뒤 수시입출금식 통장 정도의 금리를 적용받는 경우도 있다. 올해 만기가 돌아온 상품 중 수익률이 1%에 그친 상품은 3개, 10% 이상의 고수익을 달성한 상품은 6개였다.

●박스권 장세 유리해 올핸 낮을 듯게다가 전문가들은 지금 가입한 ELD의 경우 지난해 가입한 상품보다 수익률이 낮을 거라고 보고 있다.

ELD 상품의 설계 구조상 주가가 일정 수준에서 정체하는 ‘박스권 장세’일 때 높은 수익률이 나는데, 요즘 들어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점차 커지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공성율 국민은행 금융상담센터 재테크 팀장은 “ELD는 주가가 특정 구간을 벗어나지 않으면 수익을 보장하는 형태인데 지난 1년간은 주가 등락폭이 그리 크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근 코스피지수가 연고점인 1900선 안팎으로 움직이면서 연말·연초에 한두 차례의 조정장이 올 거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김창수 하나은행 아시아선수촌 골드클럽 PB팀장은 “코스피지수가 1900선으로 향후 시장상황에 따라 주가가 오름세와 내림세를 반복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터치·범위형 등 수익 확정가입

그렇다면 ELD 상품에 가입할 때는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할까. 가입기간 중에 목표 주가를 달성하면 수익률이 확정되는 상품에 가입하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김 팀장은 가입일 대비 주가가 20% 상승하는 순간 정기예금 금리보다 높은 수익률이 확정되는 ‘터치형’이나 주가 변동폭이 10% 안팎일 때 6~7%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범위형’ 상품을 추천했다.

투자 위험을 낮추는 차원에서 ELD에 가입할 때 특판금리 4.5~5%가 적용되는 정기예금에 가입하는 것도 방법이다. 예를 들어 ELD에 1000만원, 특판예금에 1000만원을 투자하면 ELD 수익률이 0%를 기록하더라도 최소 2% 이상의 금리는 챙길 수 있다.

단 ELD는 중도해지를 하면 원금 보장이 안 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공 팀장은 “중도해지를 하면 손해가 날 수 있으므로 비상금이 아닌 여윳돈을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희·오달란기자 haru@seoul.co.kr
2010-10-25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