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산업 비타민 희토류의 경제학

첨단산업 비타민 희토류의 경제학

입력 2010-10-30 00:00
업데이트 2010-10-30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첨단산업의 비타민.

많이 먹을 필요는 없지만 섭취하지 않으면 몸에 탈이 나는 비타민처럼 반도체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발광다이오드(LED) 등 첨단기기를 만들 때 꼭 필요한 희토류(稀土類)를 두고 하는 말이다. 지각 내 총함유량이 300(100만분의 300) 미만인 귀한 몸이다.

이미지 확대


중국과 일본의 댜오위다오(釣魚島·센카쿠열도) 충돌 이후 확전일로로 치닫던 ‘희토류 분쟁’은 일단 휴전에 돌입했다. 외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미국과 유럽, 일본 등에 내렸던 희토류 금수 조치를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잠시 봉합됐지만 불쏘시개만 던져지면 다시 번질 수 있는 상황이다. 매장량 1위(36.4%)인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96.8%를 책임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입맛대로 가격을 조절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런 상황이 처음부터 빚어진 것은 아니었다. 미국 마운틴패스 광산은 1975년까지만 해도 컬러 TV 음극관에 쓰이는 희토류의 세계 최대 공급지였다. 지금도 러시아를 비롯한 독립국가연합(CIS·19.2%), 미국(13.1%), 호주(5.5%)에는 상당한 양이 묻혀 있다. 하지만 다른 나라 광산은 중국의 저가 공세를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았다. 희토류는 순도가 낮기 때문에 채굴 뒤 독성 약품으로 걸러야 한다. 값싼 노동력은 물론 환경파괴쯤은 아랑곳하지 않아야 생산이 가능하다. 중국이 독점적 지위로 올라선 배경이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중국은 희토류의 수출 쿼터를 2009년 하반기 2만 8417t에서 올 하반기 7976t으로 제한했다. 이에 따라 반도체 세척에 쓰이는 세륨은 연초보다 383%, 산업전지에 쓰이는 네오디뮴은 139%, 초정밀무기에 쓰이는 디스포로슘은 133% 솟구쳤다.

강 건너 불 구경 할 일은 아니다. 우리나라의 비축분은 수요량의 0.2일분(3t)에 불과하다. 조만간 광물자원공사를 통해 세륨화합물 등 59t을 들여올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2016년까지 2500억원을 투입해 1200t을 비축할 예정이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반도체 연마제는 100% 대체가 가능하지만 다른 용도의 희토류 대체재는 아직 연구단계”라면서 “연말에 미국 마운틴패스 광산이 다시 열리면 현재 전 세계 생산량의 16%에 해당하는 연간 2만t이 추가로 시장에 풀리기 때문에 내년부터 공급 쪽 가격상승 요인은 상당부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0-10-30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