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의 종가’ 현대건설은 어떤 회사

‘건설업의 종가’ 현대건설은 어떤 회사

입력 2010-11-15 00:00
업데이트 2010-11-15 15: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기아차그룹과 현대그룹이 인수경쟁을 벌이는 현대건설은 국내 시공능력평가 1위의 회사로 명실상부한 건설업종의 대표 기업이다.

 1947년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설립한 현대토건사가 모태로 옛 현대그룹의 모기업이자 지난 60여 년간 국내 건설산업을 이끌어온 장수 기업이기도 하다.

 시공능력평가 제도 시행 이후 2003년까지 42년간 줄곧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켜왔던 현대건설은 2000년 초 옛 현대그룹의 경영권 분쟁과 함께 시련을 맞았다.

 당시 불거진 옛 현대그룹의 유동성 위기로 2000년 10월 1차 부도를 냈고 이후 워크아웃 과정을 거치며 2004년 시공능력평가에서 처음으로 1위 자리를 내줬다.

 이후 경영정상화와 지속적인 자구노력에 힘입어 2006년 채권단 관리에서 벗어나 자율경영체제로 전환했고,실적 위주의 경영관리로 2009년에 다시 1위 자리를 탈환했다.

 현대건설의 발자취는 사실상 국내 건설산업의 발전과 궤를 같이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초창기 전후 복구 사업으로 시작된 도로 및 교량 공사를 비롯해 경부고속도로,경인고속도로 등 굵직한 초대형 국가 기반시설들이 모두 현대건설의 손을 거쳤다.

 또 소양강댐,호남비료공장 화력발전소,국내 최초의 대단위 공동주택인 마포아파트 단지 등 토목,건축,플랜트 분야에서 줄곧 업계 선두 자리를 지켜왔다.

 현대건설은 또 시공기술이 까다롭기로 유명한 원자력 발전소 건설 부문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1970년대 초 국내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인 고리 원자력 1호기 건설을 시작으로 지난 40년간 국내에 건설된 20기의 원자력 발전소 가운데 12기를 현대건설이 시공했다.

 특히 지난해 말에는 현재 시공 중인 신고리 3·4호기 모델을 바탕으로 약 400억 달러 규모의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원전을 삼성물산과 공동 수주하면서 국내 원전의 첫 해외 수출이라는 쾌거를 이뤘다.

 1980년대 중동 신화를 주도한 현대건설은 최근에는 플랜트 분야 등에서 해외 건설 수주의 첨병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1965년 태국 파타니 나라티왓 고속도로 공사 수주를 시작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한 현대건설은 중동과 동남아시아,아프리카 등지에서 올해까지 총 778억 달러의 공사를 수주했다.

 올해는 건설경기 침체 속에서도 국내 건설사 가운데 최초로 해외건설 수주 100억 달러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현대건설의 올해 경영목표는 수주 20조원,매출 10조원이다.

 올 들어 3분기까지는 매출 6조902억원,영업이익 4천591억원,수주 16조1천888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건설 부문의 세계 1위에 해당하는 ‘업종 선도기업(Sector Leader)’으로 선정됐고,미국 ENR가 선정한 ‘2010년 세계 225대 건설사 순위’에서도 작년보다 29계단 상승한 23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