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합훈련 기간 경제금융점검 강화

한미연합훈련 기간 경제금융점검 강화

입력 2010-11-27 00:00
업데이트 2010-11-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해상 한미 연합훈련을 앞두고 한반도를 둘러싼 지정학적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정부가 금융·외환시장 등 경제전반에 대한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26일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한미 합동훈련계획에 대해 협박성 발언을 쏟아내면서 ‘북한 리스크’가 되살아나자 원.달러 환율이 급등한 것에 주목,정부와 금융당국은 긴장의 끈을 바짝 조이고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경제금융상황점검회의를 통해 비상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충분히 갖춰놓았다”라며 “현재 금융·외환시장에 대한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풀가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23일 오후 북한의 연평도에 대한 포격 직후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위기관리대책회의를 연 데 이어 이튿날 아침에는 임종룡 재정부 1차관 주재로 긴급 경제금융상황점검회의를 통해 금융·외환시장에 과도한 쏠림현상이 나타나면 적극적인 시장안정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정부는 원화가치가 지나치게 급락하거나 금리가 폭등하는 등 시장의 ‘쏠림’ 현상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 경우 정부가 개입해 원화와 외화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한다는 방침에 따라,28일 시작하는 대규모 한미 합동군사훈련 기간에 금융·외환시장 및 경제 전반에 대한 점검과 ‘컨틴전시 플랜’(유사시 비상계획) 정비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정부는 이날 북한의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한미 연합훈련계획에 대해 “괴뢰패당의 무분별한 소동으로 북남관계는 전쟁 전야의 험악한 지경으로 치닫고 있다”며 강경대응 방침을 밝히면서 외환시장이 출렁인 것에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기본적으로 과거 사례들에 비춰볼 때 상황이 추가로 악화되지 않는 한 북한 리스크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이고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으나,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북한 리스크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다각도로 점검하고 있다.

 정부는 한미합동훈련 기간에 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는 물론,생필품 사재기,출고제한,담합 등 시장혼란행위가 없는지 공정거래위원회를 중심으로 한 단속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재정부 관계자는 금융·외환시장의 움직임에 대해 “북한 리스크는 정확히 예측을 한다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최대한 사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며 “그러나 환율의 움직임 등 특정 현안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