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지열발전소 건설

국내 첫 지열발전소 건설

입력 2010-12-27 00:00
업데이트 2010-12-27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에서 처음으로 지열(地熱)발전소를 짓기 위한 프로젝트가 가동된다.

26일 지식경제부와 업계에 따르면 자원에너지 탐사·개발 전문업체인 ㈜넥스지오와 이노지오테크놀로지, 포스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서울대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은 최근 정부출연금 200억원을 지원받아 지열발전기술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 출연금 200억원 지원받아

이미지 확대
이 컨소시엄은 지경부 산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으로부터 ‘메가와트(㎿)급 지열발전 상용화 기술개발과제’ 수행 주체로 선정됐으며, 총 사업비 500억원 규모의 국내 첫 지열발전소를 건설하게 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지하 5㎞가량 깊이의 물을 끌어올려 전기 터빈을 돌리는 방식의 지열발전소를 짓는 것이다. 지열발전은 그동안 이탈리아, 인도네시아, 일본, 필리핀, 아이슬란드 등 화산지대 국가에서만 이뤄졌다. 그러나 최근 넥스지오가 비화산지대에서도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심부(深部)지열발전기술(EGS)을 국내 환경에 맞게 개발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처음으로 지열발전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국내 첫 지열발전소는 순발전량이 최소 1.5㎿/h로 한번에 1000여 가구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양의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태양광과 풍력은 기상조건에 따라 하루 중 발전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적이지만 지열발전은 24시간, 365일 발전이 가능하고 발전에 필요한 면적이 작다는 게 큰 장점”이라면서 “기술개발을 통해 최대 20㎿까지 생산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총 2단계로 진행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1단계인 2013년까지 지하 3㎞에서 섭씨 100도 이상의 열원을 확보하고, 2단계에서 5㎞에서 인공지열저류층을 생성해 2015년까지 지열발전소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탐사와 시추는 넥스지오가 맡고, 포스코는 지상의 지열발전소 플랜트 시공을 각각 담당한다.

9900㎡ 규모로 지어질 지열발전소는 현재 지질자원연구원이 부지를 물색하고 있으며 포항 등 경북지역이 선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입지는 포항 등 경북지역 유력

업계에서는 2030년까지 지열발전이 총 200㎿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강릉 녹색시범도시, 울릉도 그린아일랜드 프로젝트 등에서 지열발전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5㎞ 이상 땅속에서 지열을 캐내는 발전소는 아시아에서 처음”이라면서 “향후 국내뿐 아니라 해외 지열발전 시장이 크게 성장하면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고 기대했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0-12-27 1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