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평균보다 병원은 많고 의료인력 적어

OECD 평균보다 병원은 많고 의료인력 적어

입력 2011-03-08 00:00
업데이트 2011-03-08 13: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년간 병원 2만개↑ 요양병원ㆍ치과병원 급증…조산원은 감소

국내 병원 수가 지난 10년간 30% 이상 늘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의료 인력도 큰 폭으로 늘었지만 아직 OECD 평균치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해 말 현재 국내 의료기관 수는 8만1천681개로 지난 2000년(6만1천776개)에 비해 32.2%가 늘었다고 8일 밝혔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요양병원이 19개에서 867개로 약 45배로 늘었고, 치과병원도 60개에서 191개로 3배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조산원은 126개에서 46개로 줄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2만887개, 경기도 1만6천331개, 인천이 3천672개 등 전체 의료기관의 절반인 2만887개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의료기관의 수도권 집중도는 10년 전 47.4%에서 50.1%로 높아졌다.

인구 100만명당 병원 수는 58.5개로 OECD 평균치(이하 2008년 기준)인 31.03개에 비해 무려 20개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실 병상 수는 2000년 29만4천326개에서 2010년 52만8천288개로 79.5% 늘었고, 인구 1천명당 병상수는 6.26개에서 10.81개로 4.55개(72.6%) 증가했다.

의료 인력은 의사가 8만2천137명, 치과의사가 2만936명, 한의사 1만6천156명, 약사 3만2천152명, 간호사 11만6천71명 등이었다.

한의사는 10년 전에 비해 82.7%, 간호사는 76.6% 늘었고, 의사와 치과의사는 각각 48.7%, 43.9%가 증가했다.

그러나 인구 1천명당 의료인력은 의사가 2.01명(OECD 평균 3.11명), 치과의사 0.43명(〃 0.62명), 약사 0.66명(〃 0.74명), 간호사 2.37명(〃 6.74명)으로 OECD 평균치에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구 100만명당 특수 및 고가 의료장비 대수는 CT가 35.6대(OECD 평균 22.97대), MRI 20.15대(〃 11.13대), 유방촬영장치 49.39대(〃 22.63대), PET 3.17대(〃 1.48대)로 OECD 평균치를 크게 웃돌고 있다.

연 합 뉴 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