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배당금 싹쓸이 국부 9조 유출

외국인 배당금 싹쓸이 국부 9조 유출

입력 2011-12-26 00:00
업데이트 2011-12-26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투자 없이 외국 송금 내년 고배당 요구할 듯

외국인 투자자가 국내 기업에서 챙겨 갈 배당금이 올해 9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내국인 투자자가 외국 기업에서 받은 배당금은 그 절반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국인 투자자는 유럽 재정 위기 등으로 인한 투자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내년 초 고배당을 요구할 가능성이 커 국부 유출 논란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확대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10월 외국인이 국내 기업에서 챙긴 배당금(투자소득 배당지급)은 67억 3010만 달러로 나타났다. 우리 돈으로 7조 4000억원에 달한다. 이는 글로벌 금융 위기를 겪었던 2008년(76억 5000만 달러) 이후 3년 만에 최대 규모다. 게다가 배당이 주로 연말연시에 몰리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전체 배당금은 9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우리 기업들이 금융 위기의 충격에서 점차 벗어나면서 외국인 배당금이 늘어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러나 문제는 한국 국적의 투자자들은 외국에서 그만큼 배당 수입을 챙기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1~10월 내국인 투자자가 외국 기업에서 받은 배당금(투자소득 배당수입)은 34억 7840만 달러(약 3조 8000억원)였다.

투자소득 배당지급을 투자소득 배당수입으로 나눈 투자소득 배당배율은 올해 1.934였다. 외국인이 내국인보다 2배가량 많은 배당금을 챙겼다는 뜻이다. 외국인이 받은 배당금 대부분은 국내에 다시 투자되지 않고 국외로 송금되기 때문에 국부 유출 논란을 낳고 있다.

내년 초에는 외국인의 배당 요구가 더 심해질 가능성이 크다. 기업들은 2011 회계연도 결산이 끝나는 내년 1분기에 결산 배당액 규모를 결정하는데, 외국인이 고배당을 요구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올해 외국인들은 유럽 재정 위기가 길어지고 글로벌 경기 회복세가 둔화된 탓에 적잖은 투자 손실을 봤다. 따라서 그나마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는 우리나라 등 신흥국에서 손실을 만회하려는 시도가 나타날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금융연구실장은 “내년 기업의 경기 여건이 좋지 않지만 외국인 투자자들이 유럽 재정 위기 등으로 입은 투자 손실을 만회하고자 올해 상반기 실적 호조를 근거로 들어 내년 1분기에 고배당을 요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서정호 금융연구원 금융산업·경영연구실장도 “외국인 투자자들이 강도 높은 배당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글로벌 위기로 외국인 투자자들도 어려운 만큼 배당에 대한 욕구가 굉장히 센 상황”이라고 말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1-12-26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