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예금 두달 연속 감소

은행예금 두달 연속 감소

입력 2012-02-03 00:00
업데이트 2012-02-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대 은행 1월 9조 5580억 줄어 ‘불황기’ 통장 깨서 빚 상환한 듯

은행 예금 감소 규모가 글로벌 금융 위기가 한창이던 2008년 수준을 넘어섰다. 경기가 나빠지자 예금을 깨서 생활비 등으로 충당하거나 빚을 갚는 사례가 많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국민·신한·하나·기업 5대 은행의 총수신은 지난해 12월 말 779조 995억원에서 올 1월 말 769조 5415억원으로 한 달 새 9조 5580억원 줄었다. 지난해 12월 시중은행 총수신이 1조 9000억원 줄어든 데 이어 두달째 감소 추세다.

항목별로는 정기예금이 5조 9182억원 급감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요구불예금이 1조 5284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은행 수신이 두 달 연속 감소한 것은 2008년 12월(-8168억원), 2009년 1월(-1조 9000억원)에 이어 3년 만에 처음이다. 감소 폭은 오히려 지금이 더 크다.

신한은행은 총수신이 5조원이나 축소됐다. LG카드 우선주 상환자금 3조 7000억이 지난달 예금에서 빠져나간 것을 고려해도 수신이 1조 3000억원이나 줄었다.

정부의 ‘2011년 가계금융조사 결과’를 보면 가구소득 평균은 지난해 6.3% 늘었지만 대출액은 14.1% 급증했다.

반면 지난해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전년보다 고작 0.19% 포인트 올라 연 4.09%에 불과했다. 가계대출 금리는 0.47% 포인트 급등해 5.82%다. 예금을 깨 빚을 갚을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정영식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은행 계좌에서 돈을 빼 펀드 등에 집어넣지 않았다면, 예금 감소는 생활비 충당이나 대출 상환 목적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추이를 더 지켜봐야겠지만 예금 감소세가 심상치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불황 여파로 생활고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예금을 깨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안미현기자 hyun@seoul.co.kr

2012-02-03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