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에 책 안 산다…월 도서구입비 최저

경기침체에 책 안 산다…월 도서구입비 최저

입력 2012-02-25 00:00
업데이트 2012-02-26 07: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표 있음>>>작년 월평균 2만원 그쳐…고소득층 급감세

2011년 우리나라 가계가 한 달에 책을 사려고 쓴 금액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독서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데다 불황 속에서 소득 증가세가 둔화하자 가계가 책값부터 줄인 것으로 해석된다.

26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대한출판문화협회의 통계를 보면 지난해 전국 2인 이상 가계가 서적을 사는 데 지출한 비용은 월평균 2만570원이었다.

관련 통계가 나온 2003년 이래 가장 적은 금액이다.

서적 지출비용은 2003년 월 2만6천346원에서 2004년 2만1천325원으로 급감했다. 이후 2005년 2만1천87원, 2006년 2만1천659원, 2007년 2만868원, 2008년 2만2천638원, 2009원 2만1천211원, 2010년 2만1천902원 등 2만1천원 안팎을 맴돌았다.

지난해 도서의 평균 정가가 1만3천10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가계가 한 달에 구입한 책은 1~2권 정도다.

서적에는 소설이나 시집 등 일반 도서와 함께 교재, 참고서 같은 학습용 도서가 포함돼 있어 순수히 교양 및 오락을 목적으로 산 책은 많아야 한 달에 1권일 것으로 추정된다.

책값 지출은 소득이 적은 가계일수록 적었다.

소득 하위 20%에 해당하는 1분위 가계는 지난해 책을 사는 데 월평균 6천595원을 썼다. 상위 20%에 속하는 5분위 가계가 쓴 3만2천583원의 20.2%에 불과하다.

전년 대비로는 저소득층은 비슷했지만 고소득층은 4천340원(-11.8%) 줄었다.

지난해 서적 물가가 3.4% 오른 점을 고려하면 저소득층이든 고소득층이든 실제로 산 책 권수는 더욱 줄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가계의 책값 지출은 여가 방식 변화에 따른 독서인구 감소로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이다. 여기에 작년 하반기부터는 글로벌 경기둔화 속에서 가계의 살림살이가 팍팍해진 것이 악영향을 미쳤다.

한국출판연구소 백원근 책임연구원은 “‘문화비는 가장 먼저 줄고 가장 늦게 회복한다’는 말이 있다. 통상 가계가 경제적 어려움으로 지출을 줄일 땐 문화비, 그중에서도 책값을 가장 먼저 줄이는 경향을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