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대비 원유 수입 비중 급증…“韓경제에 부담”

GDP대비 원유 수입 비중 급증…“韓경제에 부담”

입력 2012-03-18 00:00
업데이트 2012-03-18 1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제유가 변동성 위험 고조…이란사태ㆍ투기세력 탓

국제유가 급등으로 올해 국내총생산(GDP)에서 원유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고 수준에 이를 전망이다.

이란 핵개발을 둘러싼 지정학적 위험이 높아지자 국제원유시장에서 투기 세력 들의 거래비중도 사상 최고치에 이르고 있다.

국제유가 상승과 투기 세력 증가에 따른 변동성 확대는 원유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와 증시에 최대 복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8일 국제금융센터와 골드만삭스 등 외국계 투자은행(IB)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GDP 대비 원유 순수입 비중은 11.7%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국제유가가 오름에 따라 지난해 10.6%보다 1.1%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금융위기였던 2008년의 11.0%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 비율은 1996년 3.7%에서 꾸준히 상승해 6%대에 머물다 2008년 급격히 치솟았다. 이후 2009년 8%대로 하락했지만 다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유가가 올라 에너지 부문 지출이 증가하면 투자와 소비 등 다른 부문 지출이 줄어들어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물가에도 부담요인으로 작용한다.

외국 투자은행(IB)들도 국제유가 급등세가 지속하면 한국 경제와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노무라는 한국은 GDP 대비 원유 순수입 비중이 높아 유가 상승에 따른 부정적 효과가 크다고 지적했다. 크레디트스위스는 한국의 수출이 경기에 민감한 품목 위주로 구성돼 국내 증시가 세계 경기 변동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다고 진단했다.

최근 국제시장에서 원유에 대한 투기자금이 큰 폭으로 증가해 변동성이 커졌다는 점도 불안 요인이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투기 순매수포지션은 하루 30만 계약을 돌파해 사상 최고치에 근접하고 있다. 투기 순매수포지션은 원유 선물옵션시장에서 실수요자를 제외한 투자자의 순매수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다.

투기 순매수포지션이 미결제약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파악하는 투기세력 시장점유율은 원유의 경우 최근 13% 내외로 상승해 2004년 3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투기 세력 비중이 커지면 펀더멘탈과 관계없이 가격 급등락을 일으켜 원자재 가격 흐름이 불안정해진다.

국제금융센터 오정석 연구원은 “GDP 대비 원유 지출 비중이 과도하면 다른 분야 소비가 줄어들어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유가가 오르는 것도 부담이지만 투기 세력 증가로 시장 변동성의 확대되면 유가 예측이 어려워져 기업 경영과 주가에 부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