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스페이스 창업주, 외딴섬에 틀어박혀서…

노스페이스 창업주, 외딴섬에 틀어박혀서…

입력 2012-03-24 00:00
업데이트 2012-03-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슬로우】 플로리안 오피츠 지음 로도스 펴냄

대한민국의 중·고교생들이 자신의 정체성과 동일시할 정도라는 의류 브랜드, 노스페이스. 전 세계에 수천개의 매장을 갖고 있고 수십개 나라에서 철마다 신제품 패션쇼를 여는 이 거대 기업의 창업주는 미국인 더글러스 톰킨스다. 그런데 이 억만장자가 사는 곳이 뜻밖이다. 남미 끝자락, 파타고니아다. 칠레와 아르헨티나에 걸쳐 있는 광대하고 척박한 땅. 그가 이곳에서 하는 일이 독특하다. 이른바 ‘속도 저지 프로젝트’다.

경비행기를 타고 돌아도 한 시간은 족히 걸릴 29만ha의 땅을 푸말린 공원이라 이름 짓고는 그대로 둔다. 그 땅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얘기다. 도대체 왜? “땅을 가속화의 흐름에서 구해 자연에 돌려주기 위해서”다. 그는 이를 위해 지난 20년 동안 조금씩 땅을 사 모아 거대한 자연보호구역으로 만들었다. 종국엔 이 공원을 칠레에 기증할 생각이다. 단, 이 지역을 국립공원으로 보호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그래야 서울의 약 다섯 배에 달하는 거대한 땅이 시간의 흐름을 잊고 영원히 파괴를 면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슬로우’(박병화 옮김, 로도스 펴냄)는 독일의 작가이자 다큐멘터리 감독인 플로리안 오피츠가 느리게 사는 법을 제안한 책이다. 저자는 남보다 더 빨리 정보를 입수할수록 더 많은 돈을 버는 자본주의 사회 구조가 사람들을 시간에 쫓기게 했다고 진단한다. 시간이 부족한 건 시간관리를 잘못한 개인의 탓이라는 시각에 반기를 든 셈이다.

예전엔 손으로 편지를 썼다. 대략 한 통 쓰는 데 30분 정도 걸렸을까. 요즘엔 어떤가. 이메일을 이용할 경우 30분에 10통 쓰는 건 일도 아니다. 기술의 진보는 시간을 지속적으로 단축시켜 왔다. 교통수단의 발달로, 기계의 발명으로, 우리는 예전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재화를 생산해낼 수 있게 됐다. 자, 이제 당신은 더 많은 시간을 얻게 됐다. 그런데 아낀 시간 만큼 여유도 갖게 됐나? 결코 그렇지 않다. 당신은 더 바빠졌고 할 일도 더 많아졌다.

기술의 발전으로 되레 시간을 잃어버린 셈이다. 저자는 이 같은 모순을 해소하기 위해 더글러스 톰킨스를 비롯해 스위스의 산 속에서 새 삶을 시작한 금융 전문가와 부탄의 국민총행복부 장관 등 시간의 속도전에서 비켜서 있는 사람들을 찾아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저자는 아울러 ‘조건 없는 기본소득’도 제안한다. 기본적인 생존권이 보장된다면 경쟁을 위해 속도에 집착하는 광기의 소용돌이가 다소 완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1만 5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