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납품업체, 유통공룡 횡포 고발·하소연 봇물

중소납품업체, 유통공룡 횡포 고발·하소연 봇물

입력 2012-03-29 00:00
업데이트 2012-03-29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동수 공정위원장 현장서 청취

“매장은 물론 천장과 바닥 인테리어까지 우리에게 떠넘깁니다. 제 자식은 절대로 납품업을 시키지 않을 겁니다.”

이미지 확대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이 28일 서울 양천구 목동 중소기업유통센터에서 중소납품업체 관계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는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횡포’를 고발하는 하소연이 봇물을 이뤘다. 김 위원장은 당초 30분간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었으나, 납품업체 관계자들의 고충 토로가 이어지면서 1시간 동안 계속됐다.

참석자 신원 보장을 위해 비공개로 진행된 이날 간담회에서 한 납품업체 관계자는 “유통업체가 물건을 덤으로 주는 등 대규모 판촉 행사를 벌일 때 비용을 전가시킨다.”고 하소연했다. 대형마트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원 플러스 원(1+1)’ 행사에서 실제 할인 비용은 납품업체가 부담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참석자는 “천장부터 바닥까지 모든 인테리어를 떠넘긴다.”고 호소했고, 유통업체의 인수합병(M&A)으로 인해 갑자기 거래 계약이 해지됐다는 민원도 있었다.

공정위가 지난달 유통 분야 불공정행위를 감시하기 위해 중소납품업체 4700여곳과 연결한 ‘핫라인’에는 한 달 만에 125개 업체로부터 신고가 접수됐다. ▲결혼식·돌잔치 등 경조사를 알려 불필요한 부담을 주거나 ▲홈쇼핑 정액방송 거부 시 불이익을 주는 등 다양한 불공정행위가 신고됐다. 공정위가 최근 판매수수료 인하를 유도한 것과 관련, 판촉비 전가 등 ‘풍선효과’가 우려된다는 걱정도 있었다. 김 위원장은 “대형 유통업체들이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리는 등 급속히 성장하고 있음에도 중소납품업체 영업이익률은 제자리걸음을 하거나 감소하는 등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며 “판촉비나 인테리어 비용 전가 등 불합리한 사항을 집중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정위는 납품업체 관계자와 핫라인을 통해 접수된 신고를 유형별로 분류한 뒤 조만간 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또 지난해 대형유통업체들과 합의한 판매수수료 인하에 대한 실태점검을 4~5월 실시하고, 6월 중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2-03-29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