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게 먹는 청소년 비만위험 80% 더 높아”

“짜게 먹는 청소년 비만위험 80% 더 높아”

입력 2012-04-10 00:00
업데이트 2012-04-10 13: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복지부.동국대일산병원 분석 결과

짜게 먹을수록 비만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청소년의 경우 성인과 똑같이 짜게 먹어도 그 위험성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동국대학교 일산병원과 함께 2007년~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 등을 분석한 결과 짜게 먹을수록 비만에 걸릴 위험이 높아졌으며 특히 청소년의 경우 짠 음식과 비만의 상관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19세 이상 성인은 음식의 짠 정도인 나트륨 밀도(나트륨 mg /식품섭취량 g)가 1단위 증가할수록 비만 위험도가 2.7%씩 늘었다.

특히 음식의 짠 정도를 5분위수로 나눴을 때 짜게 먹는 상위 20%가 하위 20%에 비해 비만 위험도가 1.2배로 나타났다. 이는 짜게 먹는 상위 20%가 하위 20%에 비해 비만위험이 20% 높다는 것이다.

7∼18세의 청소년의 경우 음식의 짠 정도가 1단위 증가할수록 비만의 상대위험도가 13.2%씩 높아졌다.

음식의 짠 정도를 5분위수로 나눴을 때 짜게 먹는 상위 20%가 하위 20%에 비해 비만의 상대위험도가 1.77배 높았다. 청소년의 짜게 먹는 상위 20%가 하위 20%에 비해 비만위험이 80% 가량 높다는 의미다.

동국대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오상우 교수는 “비만 예방을 위해 덜 짜게 먹는 것이 중요하다”며 “짠 음식과 비만과의 관계는 성인보다 청소년에서 더 뚜렷이 관찰된 만큼 덜 짜게 먹는 식습관을 어릴 때부터 길러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